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충주서 '한강·탄금댐 이름 찾기' 운동본부 출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충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충북 충주의 댐·군비행장 피해 극복 시민행복회의(공동대표 천명숙·이언구·박일선)는 13일 충주시의회에서 '수리권 회복을 위한 한강·탄금댐 이름 찾기 포럼 및 국민운동본부 출범식'을 했다.

연합뉴스

[시민행복회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날 행사는 잘못된 명칭을 바로 잡아 수리권 주민들의 권리를 확보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박일선 충북환경운동연대 대표는 주제발표문에서 "조선 시대,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기록물 등을 분석한 결과 남한강은 존재하지 않는 허구적인 명칭이자 일제 식민지배 영향을 받은 이름으로 보인다"며 "충주, 제천, 단양은 한강본류"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대동지지는 한강으로 표기했고, 조선총독부관보는 한강과 남한강을 혼용했으며 정부 수립 이후 기록물인 중원향토기, 충북지명지, 충주시지는 거의 남한강으로 표기했다"며 "그러나 정부가 발행한 한국하천일람에는 남한강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연합뉴스

탄금호 일대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는 이어 "충주댐 조정지댐을 조정지댐이라고 불러선 안 된다"며 "호수는 탄금호, 댐은 우륵댐으로 변경해 지역브랜드를 높이고, 이 댐에 발전소가 추가 건설되는 만큼 독립된 댐 지원금을 받아야 한다"고도 했다.

김문숙 강원연구원 박사는 '댐 피해 극복을 위한 제언'을 통해 "댐 피해 지역 지원금 확대, 댐 주변 지역 활성화, 댐 경영에 지역민 참여 등 방향으로 정책이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제 발표에 이어 한강·탄금댐 명칭 변경 및 충주댐 건설 피해 극복 방안에 대한 토론이 열렸다.

jcpar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