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文대통령 새해 첫 업무보고 화두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부·방통위 업무보고서 과학기술·AI 등 ‘DNA’ 강조 경제산업 혁신 드라이브 가속…‘팜스 플랜’ 직접 시연

문재인 대통령은 16일 새해 첫 업무보고에서 과학과 AI(인공지능)을 강조하며 혁신 드라이브를 걸고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업무보고는 ‘확실한 변화, 대한민국 2020! 혁신의 DNA‧과학기술 강국’이라는 큰 틀 아래 각각 과학기술 강국, AI 일등국가와 혁신적인 방송통신 생태계 구축 등의 세부 주제로 나눠 진행했다. DNA는 Data, Network(5G), AI를 영문 앞글자를 딴 조어다.

업무보고에 앞서 문 대통령은 과학기술인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인공지능, 반도체,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최고, 세계 최초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과학기술인들의 성과와 경험을 소개받고 감사와 격려의 뜻을 전했다.

간담회에는 미세먼지 관측이 가능한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급 인공위성인 천리안2B호 개발에 참여한 항공우주연구원 강금실 박사,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KAIST 유회준 교수, ‘사이언스’지가 2019년 세계 최고 연구성과로 선정한 인류 최초의 블랙홀 관측 연구에 참여해 온 한국천문연구원 정태현 박사, 기존 바이오 플라스틱의 한계를 극복한 100%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개발한 한국화학연구원 황성연 박사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과학기술이 국가·사회의 문제해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하면서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를 당부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가축전염병을 조기에 발견・예방하는 ‘팜스 플랜(Farms plan)’ 시연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인공지능이 첨단 미래 산업의 선도는 물론이고 농업 같은 전통산업의 근본적 경쟁력까지 높이는 만큼 인공지능 국가전략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당부했다.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개발투자 24조원 시대 개막에 따른 다부처 협업 투자 확대, 바이오헬스·우주·에너지·소재부품·양자기술 등 전략기술 집중투자, 세종과학 펠로우십 신설 등 젊은 과학자를 세계적 과학자로 키우기 위한 지원 확대 방안 등을 보고했다.

이와 함께 데이터 3법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산업 현장에서 효과를 조속히 체감할 수 있도록 공공․민간 데이터의 연계․융합을 통한 데이터 본격 활용, 인공지능 핵심기술 확보 및 인재양성, 산업·사회 전반에 인공지능․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범부처 AI 10대 프로젝트’,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 등 민관합동 30조원 투자계획을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급변하는 글로벌 미디어 환경변화에 대응해 범부처 협의체(TF)를 구성하고 ‘(가칭) 디지털 미디어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3월까지 수립하겠다고 했다.

방통위는 미디어 분야의 광고·협찬·편성 등 낡은 규제의 전면 혁신을 통한 미래지향적 미디어 정책 수립, 글로벌 사업자와의 규제 형평성 제고를 통한 공정경쟁 환경조성과 인공지능 시대에 발생 가능한 역기능 사전대응 등 이용자 보호방안 등에 초점을 맞췄다.
아주경제

문재인 대통령에게 쇄도하는 질문.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0 신년 기자회견에서 질문를 요청하는 기자들을 바라보고 있다. 2020.1.14 cityboy@yna.co.kr/2020-01-14 10:31:34/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봉철 기자 nicebong@ajunews.com

김봉철 nicebong@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