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1 (금)

범야권, 특검 대규모 여론전…이재명 "국민 힘으로 책임 묻자"(종합)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민주 서울역·조국당 용산서 각각 대규모 장외집회 열어

이재명 "망설이지 않고 신속하게 국민이 준 권력 행사"

조국 "특검법 그물 올 더 촘촘히 만들어 국회 제출"

뉴시스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일 서울 중구 서울역 인근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해병대원 특검법, 국민이 승리한다' 윤석열정권 규탄 및 해병대원 특검법 관철을 위한 범국민 대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4.06.01. ks@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조재완 기자 =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등 범야권이 1일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각각 대규모 장외집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과 여권을 겨냥한 특검 총공세를 펼쳤다.

민주당은 야권의 막강한 입법권 행사를 예고했고, 조국 조국당 대표는 '채상병 특검법' 재추진 의지를 재확인하며 윤 대통령에 특검 수용을 촉구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서울역 광장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특검 여론전에 화력을 쏟아 부었다. 22대 국회 첫 대규모 장외 집회이자 지난달 25일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규탄대회다. 이날 집회에는 민주당 추산 3만명 가량이 운집했다. 이재명 대표와 박찬대 원내대표, 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와 전국 시·도당위원장 등이 총출동했다.

이 대표는 연단에 올라 윤 대통령과 정부여당이 '채해병 특검'을 거부한 것을 두고 "망설이지 않고 신속하게 강력하게 국민이 준 권력을 행사하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이 대표는 "투표로 심판을 했음에도 승복하지 못한다면 이제 국민들이 힘으로 그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국민의 뜻을 존중해 국민의 뜻에 따르지 않는 국민 일꾼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바로 우리가 직접 손으로 증명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외쳤다.

그는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국민으로부터 위임받은 권력을 국민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적으로 남용하며 국민을 능멸하고 이 나라의 미래를 해치는 데 사용한다면 그에 대해서는 엄중한 책임을 바로 우리 국민들이 물어야 하는 것 아니겠나"라며 "이제 이 나라의 권력의 주체이자 이 나라의 주인이고, 이 나라의 미래와 우리 모두를 책임져야 하는 바로 우리 자신, 대한민국 국민들이 직접 나서야 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대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지 않냐"며 "이제 우리가 직접 함께 손 잡고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이다', '이 나라 주인이 우리다', '이 나라의 모든 권력은 우리를 위해서 사용하라고 우리가 그들에게 잠시 맡긴 것이다'라는 것을 직접 증명해야 하지 않겠나"라고 힘줘 말했다.

그는 "국회가 일하려고 하지만 대통령이 거부한다"며 "대통령이 거부하면 아무리 압도적 다수가 찬성해도 국회는 입법을 하지 못한다. 삼권 분립의 나라가 맞냐"고 날을 세웠다.

그는 "대통령은 행정을 책임지고 국회는 입법을 책임지는 것이다. 그런데 대통령이 여당이 동의하지 않은 모든 법안을 거부하고 있다"며 "국회의 권능과 존재를 부정한다"고 직격했다.

나아가 "삼권 분립을 부정한다. 당연히 해야 될 특검을 거부한다"며 "이제 국회에서 제도 내에서만 싸우기에는 힘들다. 이제 안에서 밖에서 함께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주신 권력으로 우리가 일선에서 최선을 다하되 국민 여러분과 함께 길거리에서 밤낮없이 쉬지 않고 함께 싸우겠다"고 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모든 정황이 해병대원 순직 사건 수사외압의 몸통으로 윤 대통령을 가리키고 있다"며 "왜 범인이 아니고서야 왜 이렇게 기를 쓰고 특검법을 거부했겠나. 대통령의 특검법 거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포기하겠다는 선언"이라고 가세했다.

박 원내대표는 "대통령의 특검법 거부는 노골적인 수사 방해"라며 "민주당은 22대 국회 첫 당론 법안으로 해병대원 특검법을 발의했다. 반드시 통과시키겠다"고 경고했다.

장경태 최고위원은 "(수사외압 의혹이) 잔챙이들이 개입이 아니었다"며 "대통령이 직접 통화하고 국무총리가 직접 통화하고 경호처장이 직접 통화하고 경찰을 지휘하는 행안부 장관이 직접 통화한 총체적인 윤석열 정권의 국정농단 게이트가 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장 최고위원은 "22대 국회에서 윤석열 특검법, 윤석열 정권 게이트 해병대원 순직에 대한 수사개입 특검을 강도 높게 강력하게 흔들림 없이 추진해 가겠다"며 "강도 높게, 힘 있게, 흔들림 없이 나아가겠다"고 했다.

뉴시스

조국혁신당은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채해병 특검법' 관철을 위한 대규모 장외집회를 열었다. [사진=조국혁신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국혁신당은 같은 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장외 여론전을 벌였다.

조국 대표는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채해병 특검 거부 규탄집회'에서 "특검법 그물 올을 더 촘촘히 해서 국회에 제출할 것"이라며 "새로운 채해병 특검법은 천라지망이 돼 사고 책임자와 수사 회피 범인들을 빠짐없이 옭아매고 잡아낼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윤 대통령에 "공수처 수사를 겸허히 받으라"며 "채 해병 특검법이 부결된 뒤, 윤 대통령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계속 전화한 내용이 언론에 보도됐다. 그것도 윤 대통령이 과거 개인적으로 쓰던 스마트폰이었다고 한다"고 꼬집었다.

또 "윤 대통령의 개인 스마트폰을 공수처에 제출하라"며 "채 해병 특검법을 수용하라"고 재차 촉구했다.

황운하 원내대표는 이번 수사외압 의혹이 '국정 농단'이라며 대여 압박 수위를 끌어올렸다.

황 원내대표는 "채해병 순직사건 수사외압의 의혹의 실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며 "대통령실의 해명은 장두노미다. 꿩 머리만 감추지만 몸통과 꼬리가 다 드러나서 결국 사냥꾼에게 잡히고 만다"고 일갈했다.

그는 "수사외압이 국정농단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윤 대통령이 관여한 정황이 하나씩 하나씩 드러나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그는 "헌법적 권한의 사적 남용, 공수처 수사 방해에 이르기까지 윤 대통령은 삼중의 사법방해를 자행한 것"이라며 '탄핵 사유'에 해당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권력형 사법방해는 강력하게 응징돼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ander@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