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서울시, 지하터널 건설공사장 안전감찰 결과 발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모범사례는 1개 뿐...위반사항은 무려 58건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 김인희 기자 = 서울시는 지난해 7월 목동 신월 빗물저류시설 공사장에서 발생한 인명사고와 관련해 서울시 발주 지하터널 건설공사장 11곳에 대한 특별 안전감찰을 실시한 결과, 1건의 모범사례와 58건의 위반사항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안전감찰은 지난 10월 중 서울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외부전문가 합동으로 지하터널 등 밀폐공간 건설공사장 중 취약공종(터널굴착, 가시설 등) 진행 중인 11곳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수립된 ‘공사장 안전사고 재발방지 대책’(8개 분야 51개 세부대책) 중 건설현장에서 지켜야 할 17개 개선대책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집중 조사했으며, 이외에도 공사장 안전·시공·품질·감리원 근무실태 전반에 대해 안전감찰을 실시했다.

감찰결과, 발주부서 및 공사관계자들이 해당 개선대책을 제대로 알지 못해 현장에서 미흡하게 운용되거나 미이행 등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노력과 실천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통합메뉴얼 작성 및 현장에 대한 철저한 지도·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공사장 안전·시공·품질·감리원 근무실태는 전반적으로 적정하게 준수되고 있으나 일부 현장에서 △안전시공 및 근로자 보호조치 소홀 △어스앵커 부실시공 △강재 품질관리 부적정 △기술지원기술자 현장점검 소홀 △ 건설기계 관리 소홀 등 안전 위험요소 58건을 적발했다.

적발된 사항에 대해선 54건은 현장조치 하는 등 소관부서와 기관을 통해 즉시 보강토록 조치하는 한편 안전관리 소홀 및 부실시공 등 위반내용에 따라 해당 공사관계자에게 주의 또는 벌점을 부과하는 등 행정처분했다.

아시아투데이

안면인식 및 환경정보 시스템 개념도/서울시 제공



이와 함께 지하터널 내 비인가 작업자 차단 및 재난발생시 잔여 인력에 대한 명확한 관리, 산소 등 유해가스를 실시간 측정해 위험 상황 발생시 경고음을 송출, 작업자 들이 즉시 위험을 감지하고 대피할 수 있는 ‘안면인식 및 환경정보 시스템’을 적용해 안전사고 예방에 노력한 신림~봉천터널(1공구) 도로건설공사(시공자 두산건설) 현장을 모범사례로 선정하고 유사 건설공사장에 전파하도록 조치했다.

김학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건설현장은 한순간의 실수가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현장에서의 안전관리가 중요하다”면서 “건설근로자 안전을 위협하는 안전무시 관행 근절을 위해 지속적으로 감찰활동을 실시하고 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