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국제사회, 리비아에 무기 제공 안 하기로 합의했지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독일과 프랑스, 러시아, 터키 등 12개국은 리비아 내전을 중재하기 위해 유엔의 무기 수출금지 조치를 준수하기로 합의했다. 리비아 내전 종식을 위한 첫걸음을 뗐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실질적인 평화가 갈 길이 여전히 멀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일(현지시간)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독일 베를린에서 회담이 끝난 뒤 기자회견을 열어 주요국과 리비아 인접국들은 리비아에 대한 무기 수출을 금지하고, 양측이 휴전에 이를 수 있도록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합의에는 주변 강대국과 당사국 외에도 유엔과 유럽연합(EU), 아프리카 연합 등이 참여했다.


메르켈 총리는 "우리는 모두 (리비아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정치적 해법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했다"면서 "최근 일련의 상황은 군사적 방법을 통해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모든 참석자들은 완전한 휴전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압박을 이어가야 한다"고 밝혔다.


무기 금수 조치 외에도 관련국들은 가까운 시일 내에 제네바에서 정전 협상을 위한 별도의 군사위원회를 만들기로 했다.


리비아는 2011년 아랍의 봄을 계기로 독재자 무아마르 카다피가 사망한 이후 2014년부터 서부를 통치하는 리비아 통합정부(NGA)와 동부를 지배하는 리비아국민군(LNA)으로 양분됐다. 유엔이 인정한 합법 정부인 GNA는 파예즈 알사라즈 총리가, 반군으로 분류됐던 LNA는 칼리파 하프타르 사령관이 이끌어왔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