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금융당국, '한국형 리보금리' 대체지표 개발 착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손병두 “2022년 이후 리보금리 중단 가능성 대비해야”

이투데이

주요국 무위험지표금리 지정 현황(표=금융위원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리보금리(Libor)를 대체할 지표금리 선정 준비에 돌입했다.

금융위원회는 2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한국거래소 등 관련 기관과 함께 지표금리 개선 추진단 회의를 개최했다. 리보금리는 국제 금융거래 기준이 되는 런던은행 간 금리로 오랫동안 국제 기준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때 리보금리 조작 사건이 발생해 오는 2022년을 전후해 사용이 금지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도 금융위와 한은을 중심으로 지표관리 체계와 무위험 지표금리 개발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 무위험 지표금리 개발은 한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RP금리와 콜금리가 리보금리 대체 우선순위에 올라 있다. 이날 브리핑을 맡은 이세훈 금융정책국장은 “우리나라도 리보금리 변경에 맞게 새 무위험지표를 선정해야하는데 현재 콜금리와 RP금리가 유력하게 (대체금리로) 검토 중”이라며 “시장 참가자 간에 선호하는 지표금리 차이가 있어서 참가자별로 어느 금리가 더 좋다는 것은 의견이 갈리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리보금리 중단에 대비해 국내 금융기관은 리보금리 사용 신규계약을 축소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부득이하게 리보금리 활용 계약을 체결하면 앞으로 금리 산출이 중단될 때를 대비해 대체조항을 계약서에 반영해야 한다. 기존계약 대부분은 국제스왑파생상품협회를 통해 일괄 대응이 가능하다.

이 밖에 금융지표 관리체계 마련을 위해 오는 11월 27일부터 시행될 금융거래지표법 시행령 마련도 함께 진행된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2022년 이후 리보금리가 중단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업계가 당사자인 만큼 스스로 경각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며, 한은은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지표가 선정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이투데이/정용욱 기자(dragon@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Copyrightⓒ이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