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시, '돌봄SOS센터' 8곳 추가 개소…'만 50세 이상 중장년'까지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 비용지원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로 확대

아시아투데이


아시아투데이 우종운 기자 = 서울시는 오는 7월부터 ‘돌봄SOS센터’가 확대·강화된다고 20일 밝혔다.

돌봄SOS센터는 갑작스런 질병·사고로 긴급하게 가사·간병이 필요한 경우부터 병원 동행 같은 일상적 도움까지 돌봄이 필요한 시민 누구에게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편적 돌봄복지다. 동주민센터 내에 설치·운영되며 사회복지직과 간호직 공무원으로 구성된 전담인력 ‘돌봄매니저’가 배치된다.

먼저 현재 성동·노원·은평·마포·강서 등 5개 자치구에서 운영 중인 돌봄SOS센터가 오는 7월 8개 자치구에서 추가로 문을 열어 총 13개 자치구에서 확대 운영된다. 시는 2021년 25개 전 자치구에서 돌봄SOS센터를 운영해 필요한 시민 누구나 제약 없이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기존 만 65세 이상 어르신 및 장애인으로 한정됐던 이용대상도 확대된다. 오는 7월부터는 그동안 공공 복지서비스 대상에서 제외됐던 ‘만 50세 이상 중장년 가구’도 새롭게 지원 대상에 포함돼 시의 보편적 돌봄이 확대될 전망이다.

아울러 서비스 비용 지원 대상도 확대된다. 기존의 ‘저소득층’에서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까지 확대됐다.

기준 중위소득은 정부가 기초생활수급자 등 선정을 위해 중위소득을 바탕으로 보정한 국민 소득 중위값을 의미한다. 전 국민을 100명이라 가정할 때 소득 규모가 50번째 해당하는 사람의 소득이 중위소득이다.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까지 지원하는 ‘서울형긴급복지’와 연계해 돌봄서비스 비용이 지원된다. 지원기준인 기준 중위소득 85% 이하는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 약 400만원이다. 재산기준 2억5700만원 이하, 금융재산 1000만원 이하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박원순 시장은 “돌봄은 더 이상 개인이 짊어질 부담이 아닌 사회가 함께 안고 가야 할 사회적 문제”라며 “‘돌봄SOS센터’는 ‘돌봄을 책임지는 서울’을 구현하기 위한 핵심이다. 2021년까지 서울 전역에서 돌봄이 필요한 누구나 제약 없이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보편적 돌봄복지 거점으로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