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주민·연구자 모여 사회문제해결 기술 개발…정부 180억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주현 기자]

머니투데이



지역 주민과 연구자가 함께 모여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리빙랩(Living-Lab) 기반 사업에 정부가 180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지역현장 맞춤형 사회문제해결과 긴급현안에 신속 대응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180억원을 투자하기로 결정,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리빙랩은 수요자와 연구자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과학기술적 해결방안을 찾는 개방형 추진체계다.

과기정통부는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현장 맞춤형 사회문제해결 기술개발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 기존 사업들은 실질적인 성과창출과 확산에 초점을 맞춰 추진할 계획이다.

먼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사회문제해결에 지역주민과 연구자가 문제해결 전과정에 참여하는 '국민공감·국민참여 R&SD 선도사업'이 향후 5년간 새로 진행된다. 올해 예산은 45억원이다.

지자체와 지역 주민이 직접 지역문제를 발굴하고 연구자와 문제해결 기획부터 기술개발, 적용·확산까지 참여하는 지역 맞춤형 사회문제해결 기술개발을 행정안전부와 협업해 추진한다.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에는 30억원, 도시재생 연계 리빙랩 사업엔 9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지속적인 사회문제해결 기술개발 추진을 위해 관련 전문가 확보, 연구현황 등 DB(데이터베이스) 구축, 기획 과정을 지원하는 '종합지원 허브'도 운영한다. 종합지원 허브구축엔 6억원이 쓰인다.

행안부와 함께 추진 중인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 사업은 예기치 못한 재난안전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긴급대응체계다. 예산은 지난해 28억원에서 올해 50억원으로 확대된다.

지난해는 △약물 성범죄 △붉은 수돗물 △아프리카 돼지열병 등 긴급 현안을 정해 연구를 진행했다. 올해는 이슈 모니터링 강화하해 현안을 적극 발굴하고 행정서류 등 과제선정 절차를 간소화한다. 1년 이내 단기과제 발굴을 확대하고 긴급현안 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조달청과 협업해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공공조달 연계형 국민생활연구 실증·사업화 지원'에는 37억원을 투입한다. 올해는 2개의 신규 과제를 추가로 선정, 리빙랩 기반 실증 등을 지원한다. 과학기술을 활용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신제품‧서비스를 창출하는 '사회문제해결형기술개발'에는 22억원을 쏟는다.

재난정보 공유플랫폼 개발과 건축물 화재관리 플랫폼 등 다양한 재난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서비스를 개발하는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 사업엔 40억원이 쓰인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하는 사회문제해결형 기술개발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연구 성과도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지역 주민과 연구자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고 기존 사업 역시 실질적인 문제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내실 있게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주현 기자 naro@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