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서울랜드, 24일부터 설 연휴 기간 ‘설에는 설레는 설랜드 한마당’ 진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랜드는 24일부터 27일까지 설 명절을 맞아 삼천리 동산 지역 일대에서 볼거리와 체험으로 구성된 특별 이벤트 '설에는 설레는 설랜드 한마당'을 진행한다. 설날 연휴 기간 서울랜드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운영한다.

설을 맞아 서울랜드는 역술가에게 2020년 새해 운세를 무료로 보거나 올해 소원을 적는 체험, 민속놀이와 옛날 먹거리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한다. 2020년 쥐띠의 해를 맞아 쥐 캐릭터와 서울랜드 대표 마스코트인 아롱이, 다롱이와 함께 머털이가 거리를 돌아다니며 고객과 사진을 찍는 '캐릭터 포토 서비스'도 제공한다.

역술가를 초청해 설날 연휴 기간 고객의 신년 운세를 무료로 볼 수 있는 '무엇이든 물어보살'은 오후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하루 선착순 4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또 한지에 새해 소원문을 적고 새끼줄에 엮어둘 수 있는 체험 장소도 마련됐다.

벽에 신나게 낙서를 하거나 딱지치기, 고무줄놀이를 할 수 있는 '골목길 놀이터'와 달고나 만들기, 쫀디기 구워먹기, 가위바위보 메달게임 등 추억의 문방구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랜드 문방구'도 만날 수 있다. 전통 풍습인 곤장 맞기 체험 '한방! 치료소'도 운영한다.

특별 이벤트로 서울랜드의 귀여운 캐릭터 머털이와 특별 게스트가 참여하는 가족대항 제기차기 대회도 열린다. 대결에 참여하면 얻을 수 있는 풍성한 선물도 준비돼 있다.

해당 기간에는 빙어 낚시 축제인 '도시빙어'와 120M 슬로프에서 눈썰매를 즐길 수 있는 '라바 눈썰매장'도 이용할 수 있다. 라바 눈썰매장은 약 1만1500㎡(약 3500평) 부지에 유아용(폭 18m, 길이 50m) 슬로프와 일반용(폭 40m, 길이 120m)슬로프로 나뉘어 운영된다. 눈썰매장의 경사는 어린이 14도, 성인 17도로 연령에 맞게 슬로프를 선택해 속도를 즐길 수 있어 가족단위 이용객이 함께 즐기기에 적합하다.

체험장 주변에는 온 몸을 따뜻하게 녹이는 겨울철 추억의 먹거리도 즐길 수 있다. 또한, 매주 주말마다 푸드트럭 음식을 맛볼 수 있는 푸드 페스티벌 '설랜은 야시장'은 설날을 맞이해 연휴 기간 내내 열릴 예정이다.

추위가 걱정된다면 따뜻한 실내 공룡 전시관 '쥬라기랜드'를 즐길 수 있다. 2019년 5월 문을 열고 누적 관람객 110만명이 넘어선 쥬라기랜드에서는 살아 움직이는 18M 거대 공룡과 무서운 소리를 내는 크고 작은 공룡 수십 마리를 만날 수 있다.

락 밴드 연습생들의 감옥 탈출기를 그린 뮤지컬 공연 '프리즌'과 TV 프로그램 스타킹, 아시아 갓 탤런트에서 주목 받은 김영진 마술사의 재미있는 마술쇼 '펀펀한 사이언스 매직쇼'도 실내에서 관람할 수 있다.

야간에는 국내 최고 빛 축제 '루나파크'가 펼쳐진다. 매일 밤 서울랜드의 28만2250㎡의 넓은 공간 전체에서 반짝이는 빛과 음악이 어우러진 환상적인 빛 축제가 열린다. 지구별을 지나면 나타나는 루나레이크에서는 디지털 LED 일루미네이션 '홀리데이 판타지' 공연이 진행된다.

이와 함께 은하수 빛 터널인 밀키웨이에서는 EDM 음악과 빛이 함께 움직이는 '밀키웨이 EDM'을 즐길 수 있다. 밀키웨이 아래에서는 서울랜드의 새로운 토끼 캐릭터 '루나리프'가 EDM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무대도 진행된다. 360도로 연속회전하며 아슬아슬하게 터널을 통과하는 롤러코스터 은하열차888 아래에서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메가 홀로그램쇼'를 볼 수 있다.

서울랜드는 가족들과 알뜰한 설날 연휴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또한 이름에 '경' 또는 '자'가 들어가면 동반 1인까지 50% 할인을 해주는 경자년 이벤트와 쥐띠 고객과 동반 1인까지 50% 할인을 해주는 2020년 새해 이벤트도 실시한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쿠키뉴스 송병기 songbk@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