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시설 실태조사…74% 하루 10명 이하 이용
시설기준 전반적으로 충족…손소독제·탁자 부족
[청송=뉴시스]김진호 기자 = 16일 경북 청송군청 종합민원실 내에 신생아를 동반한 민원인들을 위한 '모유수유실'이 설치됐다. 2019.01.16 (사진=청송군 제공)photo@newsis.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세종=뉴시스] 임재희 기자 = 전국 관공서와 지하철역 등에 마련된 수유시설 10곳 중 8곳은 가족수유실로 아빠가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다만 4곳 중 3곳은 이용률이 저조했으며 손 소독제나 탁자 부족은 과제로 지적됐다.
보건복지부와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수유시설 검색 누리집(sooyusil.com)에 등록돼 내·외부인이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수유시설 2841곳을 대상으로 지난해 6~10월 실태조사 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협회 조사원들이 직접 방문해 이용 현황, 환경 상태 등을 조사했다.
2018년 보건소를 통해 실시한 실태조사 때 보건소를 통해 조사한 3259개소 중 실제 이용하지 않는 418개소는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수유실은 공중·다중시설 852개소(30.0%), 공공청사 673개소(23.7%), 공공기관 646개소(22.7%), 교통시설 508개소(17.9%), 민간기업 133개소(4.7%), 학교 29개소(1.0%) 등에 설치됐다.
아기에게 모유나 우유가 필요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수유시설은 엄마와 아기가 이용하는 모유수유실과 아빠를 포함한 가족 모두가 수유 외에도 기저귀 교환 등을 할 수 있는 가족수유실 등이 있다.
가족수유실은 2283개소로 80.4%로 2018년 조사(63.1%) 때보다 17.3% 증가했다. 엄마만 이용할 수 있는 모유수유실은 558개소(19.6%)였으며 가족수유실 가운데 1273곳은 별도로 수유 공간을 설치해 모유수유가 가능했다.
하루평균 이용자 수를 보면 5명 이하가 1380곳(48.6%), 6~10명이 734곳(25.8%) 등으로 전체의 74.4%인 2114곳의 이용률이 10명 이하였다. 2018년도 조사 때보다 8% 줄었지만 여전히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었다. 11~20명은 314곳(11.1%), 21명 이상은 413곳(14.5%) 등이었다.
21명 이상 이용한 곳이 37.1%에 달하는 공중·다중시설 내 수유시설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이용률이 저조했으며 학교의 경우 전체 시설의 이용률이 하루 10명을 넘기지 못했다.
수유시설 관리 주기는 대부분(2800개소, 98.6%) 1일 1회 이상이고 1일 2회 이상 관리하는 곳도 2480개소(87.3%)나 됐다.
조도(권고기준 60~150lux)는 2629개소(92.5%), 온도(권고기준 여름26~28도, 겨울18~22도)는 2760개소(97.1%), 습도(권고기준 50~55%)는 2524개소(88.8%), 소음(권고기준 50㏈ 이하)은 2764개소(97.3%)에서 기준을 충족했다. 환기설비 등을 갖추고 있는 곳도 2619개소(92.2%)였다.
수유실 필수 물품인 소파는 2750개소(96.8%)에, 기저귀 교환대(아기침대 포함)는 2676개소(94.2%)에 설치돼 있으나 손 소독제(1454개소, 51.2%)와 탁자(1349개소, 47.5%)는 상대적으로 설치율이 낮았다.
수유실 내 비치 물품의 청결상태 및 바닥의 오염도 등에 대해서도 대부분 적정(99.4%)한 것으로 조사돼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지방자치단체에도 공유해 지침 기준에 미달하는 곳은 '수유시설 관리 표준 지침(가이드라인)'이 지켜지도록 지도를 요청하고 전국 단위 실태조사도 지속해서 할 계획이다.
복지부 고득영 인구아동정책관은 "실태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수유시설 관리 표준 지침이 정착돼 모유 수유 및 육아활동 편의가 증진되는 한편, 수유시설이 쾌적하고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limj@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