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쥴·릴 베이퍼' 퇴출 위기…액상형 전자담배 판매량 90% 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심각한 폐 손상 위험에 정부 사용 중단 권고 후폭풍 연초고형물 전자담배 판매량도 감소세

정부가 심각한 폐 손상 위험이 있다고 사용 중단을 권고한 액상형 전자담배의 작년 4분기 판매량이 전분기에 비해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22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19년도 담배 시장 동향'에 따르면 '쥴', '릴 베이퍼' 등 CSV(폐쇄형 액상) 전자담배는 지난해 5월 출시 이후 1690만 포드(액상 용기 단위, 1포드=1갑)가 팔렸다. 하지만 작년 4분기 판매량은 100만 포드로, 전분기(980만 포드) 대비 89.8%나 감소했다.

지난해 미국에서 액상형 전자담배로 인한 심각한 폐 손상으로 사망한 사례가 잇따라 알려졌다. 이에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는 작년 9월, 10월, 12월 등 세 차례에 걸쳐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 자제·중단을 권고했다.

'글로 센스', '플룸 테크' 등 연초고형물 전자담배는 작년 7월 출시 이후 12월까지 370만 갑이 팔렸다. 하지만 4분기 판매량(130만 갑)은 3분기(240만 갑)보다 45.4% 줄었다.

지난해 전체 담배 판매량은 34억5000만 갑으로 전년보다 0.7% 감소했다. 4분기 판매량은 8억4000만 갑으로 전분기 대비 9.1% 줄었다.

궐련은 작년 30억6000만 갑이 팔려 전년보다 2.4% 줄었다. 궐련은 2016년 36억6000만 갑의 판매량을 기록한 이후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담배 판출량을 기준으로 부과하는 제세부담금은 지난해 11조원으로 전년보다 6.5% 감소했다. 반출량(33억6000만갑)이 전년보다 6.2%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궐련 제세부담금은 10조604억원, 궐련형 전자담배 제새부담금은 9011억원이었다.
아주경제

액상형 전자담배 유해 의심 성분 분석 결과 발표 임박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국내 액상형 전자담배 내 유해 의심 성분 분석 결과 발표를 앞둔 12일 오후 서울 시내에서 한 시민이 액상형 전자담배를 들고 있다. 보건당국이 강력하게 사용 중단을 권고한 일부 액상형 전자담배에서 중증 폐 질환과 관련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성분(비타민 E 아세테이트)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미국에서 액상형 전자담배를 피우고 발생한 중증 폐 손상 환자의 대부분이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 마약류인 대마 유래 성분(THC)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2019.12.12 hwayoung7@yna.co.kr/2019-12-12 15:47:06/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홍성환 기자 kakahong@ajunews.com

홍성환 kakahong@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