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조선이 쌓은 경주읍성 구간서 신라 팔부중상 나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세기 중반 석탑 면석 3점, 방어용 구조물에 사용

연합뉴스

경주읍성에서 나온 팔부중상
긴나라, 마후라가가 있는 북쪽 부분.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경주읍성 중 조선시대에 축조한 방어용 구조물 기단부에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 쓴 팔부중상(八部衆像)이 발견됐다.

한국문화재재단과 경주시는 경주읍성 동북쪽 성벽에서 진행한 학술발굴을 통해 신라 팔부중상 면석 3점이 기단석으로 재사용됐음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팔부중은 불법을 수호하는 여덟 신인 천(天), 가루라, 용, 야차, 건달바, 아수라, 긴나라, 마후라가를 통칭한다. 아울러 불교에서 인간 이외 다양한 존재를 일컫는 용어이기도 하다.

이번에 확인된 팔부중상은 긴나라·마후라가를 새긴 북쪽, 아수라·건달바를 표현한 남쪽, 야차와 용이 남은 동쪽 부분이다. 천과 가루라가 있는 서쪽 면석은 나타나지 않았다.

면석 너비는 75㎝, 두께는 약 20㎝다. 길이는 북쪽 148㎝, 남쪽 184㎝, 동쪽 166㎝로 조금씩 다르다.

연합뉴스

경주읍성에서 나온 팔부중상
위쪽은 아수라·건달바(남쪽), 아래쪽은 야차·용(동쪽).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조사단은 "팔부중상 면석은 다른 나라에서는 찾을 수 없는 통일신라시대의 독특한 부조상"이라며 "8세기 작품과 비교하면 정교하지 않으며, 천의(天衣) 자락 날림이 부자연스럽고 손 모양이 변형된 점으로 미뤄 9세기 중반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 면석이 동일한 석탑에서 나온 것은 맞다"며 "경주 지역에 있는 팔부중상 부조 석탑과 탑재 중 동일한 도상(圖像)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팔부중상 출토 지점은 성벽에 덧대어 만드는 구조물인 '치'(雉) 기단석 가장 아래쪽으로, 기단 북쪽과 동쪽 모서리를 연결하는 형태로 면석을 놓았다.

치는 현재 기초석과 기단석만 남았다. 기초석 범위는 동서와 남북 길이 모두 11m이며, 기단석은 길이 10m·너비 8m다. 기단에는 팔부중상뿐만 아니라 탑 부재와 건물 주춧돌 등이 사용됐다.

연합뉴스

경주읍성 치 기단석 모습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재단 관계자는 "면석은 조각한 쪽을 하늘을 향해 쌓아 성 외부에서는 존재를 알기 힘들었다"며 "기초석이 침하하면서 팔부중상 면석도 한쪽으로 약간 기울었다"고 말했다.

그는 "경주읍성은 고려시대에 처음 조성했지만, 치는 조선시대에 만들었다"며 "성벽에 사용된 팔부중상은 당시 불교에 대한 인식과 사상적인 면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경주읍성 발굴 구간
[한국문화재재단 제공]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