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서울시, 中유학생 공항 픽업부터 임시거주공간까지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박원순(오른쪽) 서울시장과 유은혜 교육부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열린 '중국 유학생 보호ㆍ관리 방안' 서울시-교육부 공동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중국인 유학생 입국 시 공항에서 학교까지 셔틀버스 운행을 지원하고, 임시거주공간을 제공한다.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 정보를 시, 대학과 공유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21일 교육부, 자치구, 주요 대학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중국 입국 유학생 보호ㆍ지원 방안’에 대한 대책회의를 갖고, 이 같은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자치구, 49개 대학과 공동대응단을 구성해 입국 단계부터 모니터링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신종 코로나가 지역사회 감염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대학이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어 시가 나선 것이다.

지난해 4월 기준으로 국내 대학에서 유학하는 중국인 학생은 총 7만1,067명이다. 이중 절반이 넘는 3만8,330명(53.9%)이 서울에서 공부한다. 다음주 귀국할 것으로 예상되는 숫자는 1만7,000여명에 이른다.

우선 중국인 유학생은 특별입국 검역을 거쳐 신종 코로나 의심증상이 없어야 입국할 수 있다. 주변과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각 대학이 학교버스나 콜밴으로 이들을 학교까지 데려온다. 학교에서 자체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자치구가 셔틀버스를 지원하고, 비용은 시가 댄다.

이들이 지낼 공간도 지원한다. 대학 기숙사나 유휴시설 등을 우선 활용하되 시와 자치구도 임시거주공간을 마련해 지원한다. 서울시인재개발원 등에 마련될 임시 거처는 확진자와 접촉해 자가격리 통보를 받았으나 갈 곳이 없는 유학생 등에 제공한다. 공간 뿐 아니라 방역, 식사, 물품도 지원한다.

기숙사 밖에 거주하는 유학생은 대학의 모니터요원이 일대일로 하루 두 번씩 전화를 통해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모바일 자가집단앱을 통한 모니터링도 실시한다. 인력이 부족할 경우 시와 자치구는 인력 충원을 위한 예산을 지원한다. 특히 기숙사가 아닌 원룸, 고시원 등에 거주하는 유학생의 경우 학교와 지자체간 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유학생이 자가진단앱에 입력한 정보를 시, 대학과도 공유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앞으로는 공동대응단을 통해 중국 유학생 관련 모든 정보를 공유하면 그동안 정보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은 지자체와 대학이 상황 대응을 신속히 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시와 교육부, 자치구, 대학이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해 유학생 입국에 따른 감염병 확산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권영은 기자 you@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