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이슈 소비심리와 경제상황

코로나19 한방에…소비심리 '비관'으로 돌아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한고은 기자] [경기인식 빠르게 악화 소비심리 하락폭 역대 세 번째로 커…여행비 지출전망 하락폭은 '역대 최대']

머니투데이

2020년 2월 소비자동향조사. /자료=한국은행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여파에 소비자심리지수가 큰 폭 하락했다.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 만큼 가계 심리가 악화됐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0년 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대비 7.3포인트 하락한 96.9로 집계됐다. 지난해 8월(92.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락폭은 2008년 10월(-12.7포인트,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3월(-11.1포인트, 동일본 대지진) 이후 역대 세 번째로 컸다. 2015년 6월(-7.3포인트, 메르스) 당시 하락폭과는 같았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장기평균치(2003년 1월~2019년 12월)를 기준(100)으로 100보다 크면 가계경제심리가 장기평균치보다 낙관적임을,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 지수를 합성해 산출한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1월까지 3개월 연속 낙관적인 상태를 나타냈다. 하지만 코로나19 충격에 4개월 만에 100을 밑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경기인식, 가계재정 관련 인식이 악화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했다"며 "조사기간은 국내에서 코로나19 (확산 피해가) 심각해지기 직전인 지난 10일부터 17일까지로 현재 상황은 반영이 덜 된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 달 소비심리가 추가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수는 지난 19일부터 빠르게 늘었다. 지난 22일부터는 하루 추가 확진자수가 200명을 넘고 있다. 24일 오후 4시 기준 국내 사망자는 7명이다.


여행비 지출전망CSI 하락폭 '역대 최대'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주요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현재경기판단CSI(66)은 12포인트, 향후경기전망CSI(76)은 11포인트 하락했다. 각각 통계집계이후 5번째, 4번째로 낙폭이 컸다.

현재생활형편CSI(91), 생활형편전망CSI(93)은 각각 2포인트, 4포인트 떨어졌다. 가계수입전망CSI(97), 소비지출전망CSI(106)은 4포인트씩 하락했다.

소비지출전망CSI를 항목별로 뜯어 보면 여행비 지출전망CSI(83)가 전월대비 9포인트 하락하며 가장 크게 떨어졌다. 코로나19 감염 우려에 국내외 여행을 꺼리면서 관련 지출 전망도 크게 떨어졌다.

2월 여행비 지출전망CSI 하락폭은 2008년 7월 통계 편제 이후 역대 최대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0~11월에는 8포인트씩 떨어진 바 있다.

이 외에 취업기회전망CSI(81)도 7포인트 떨어지며 큰 낙폭을 기록했다. 경기전망이 어두워지면서다.

한편 정부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 주택가격전망CSI(112)는 4포인트 하락했다. 지난해 12월(125) 이후 2개월 연속 하락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향후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은 전월대비 0.1%포인트 하락한 1.7%를 나타냈다.

물가인식(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인식)은 전월과 같은 1.8%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도시 2500가구(응답 2341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고은 기자 doremi0@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