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한은 이번 주 금리 인하 유력…정책 공조로 인하 효과 극대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17일에서 18일쯤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가 급격히 악화한 가운데 금리 인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재정부양책과 정책 공조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통위원들은 지난 12일 열린 금통위 정례회의에서 안건 논의를 마친 뒤 임시 금통위 개최 필요성과 시기를 놓고 논의를 벌였습니다.

지난달 27일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한 이후 금융시장 변동성이 고조되고 실물경제 위축이 빠른 속도로 심화하는 상황을 맞았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 코로나19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국면으로 전환했고, 그에 따른 경기침체 우려로 국제금융시장이 2008년 금융위기 후 가장 큰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지난 3일 기준금리를 연 1.00∼1.25%로 0.5%포인트 긴급 인하했고, 영란은행(BOE) 등 다른 주요국 중앙은행도 금리인하에 동참했습니다.

한은이 임시 금통위 개최를 협의 중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면서 시장에선 이번 주 중 임시 회의를 통한 금리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금리인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안 국회 처리가 예정된 이번 주 중 임시 회의를 열 것으로 내다봅니다.

추경안 국회 본회의 처리가 17일로 예정된 점을 고려하면 임시 회의 개최일은 17∼18일이 유력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팬데믹 선언 이후 경제주체들에 만연해진 공포 심리를 잠재우기 위해선 재정·통화 당국이 적극적으로 나서 '쌍끌이 부양책'을 펼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줄 필요가 있어섭니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4일 간부회의에서 "통화 정책만으로 코로나19의 파급 영향을 해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만큼 이 과정에서 정부정책과의 조화를 고려해 나가야 한다"며 정책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경제·금융상황 특별점검회의에 경제부처 장관들 외에 이주열 한은 총재도 참석한 바 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 회의에서 "지금은 메르스, 사스와는 비교가 안 되는 비상 경제시국"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이 17∼18일 예정된 점도 임시 회의 시기를 늦출 수 없는 요인입니다.

시장에선 연준이 이달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최소 0.75%포인트 내릴 것이란 기대도 나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형우 기자(dennoch@sbs.co.kr)

▶ [뉴스레터] 데이터로 보는 뉴스의 맥락! 마부뉴스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속보 한눈에 보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