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이주열 “통화스와프와 별개로 국내 외환보유는 대체로 적정수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으로 출근하는 도중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이 600억 달러(약 77조원)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에 합의했다. 기간은 최소 6개월(2020년 9월 19일)이다. 외환당국은 이를 통해 조달한 달러화를 바로 시중에 공급할 예정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한미 통화스와프 계약서가 작성되면 곧바로 달러화를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통화스와프와는 별개로 현재 국내 외환보유액은 적정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이 총재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인 달러화의 수요가 급증했고, 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달러화가 부족해 환율이 상승하는 등 부작용이 일어났다”며 “한국은 달러화 공급이 아주 필요한 상황이었고, 미국은 기축통화국으로서 달러화 부족 현상을 완화해야겠다는 판단이 있었다”며 이번 통화스와프의 체결 배경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와 한은이 계약 체결을 합의한 것”이라며 “계약서가 작성되면 곧바로 달러화를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계약 조건이나 법적인 문제 등 여러 고려사항이 있어 계약 체결 때까지 시차가 있겠지만, 2008년 체결 전례가 있기 때문에 과거보다는 시일이 단축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총재는 통화 스와프와는 별개로 국내 외환보유액은 적정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는 “외환보유액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몇 가지 기준을 적용해보더라도, 지금 수준은 대체로 적정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은행자본확충펀드 필요성에 대해서도 “글로벌 금융위기 때보다 상황이 더 엄중하지만, 현재 은행의 자본 상황은 양호한 만큼 거기까지 갈 시점은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신용도가 떨어지는 회사채에 대해서는 채권담보부증권(P-CBO) 등 쓸 수 있는 수단을 모두 준비해놓겠다”고 강조했다.

최승우 온라인 뉴스 기자 loonytuna@segye.com

사진=뉴스1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