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1 (토)

LCC '생존' 노선 단 4개…코로나19에 국제선 '셧다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LCC 5곳 국제선 운항 無…대한·아시아나 장거리 감축

항공업계 매출 피해 6조 추산…전향적인 지원 촉구

뉴스1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상훈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상황으로 접어들면서 국내 항공사들의 하늘길은 사실상 '셧다운' 상태에 빠졌다. 국내 LCC 5곳은 국제선 운영을 전면 중단하는 등 이제는 정상 운영 중인 노선을 찾는 게 더 빠를 정도다.

항공업계는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 입게 될 매출 피해 규모가 6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하고, 정부에 전방위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2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내 LCC 7곳 중 국제선을 정상 운영 중인 항공사는 제주항공, 진에어가 유일하다. 제주항공은 인천~도쿄·오사카 등 일본 2개 노선을, 진에어는 인천~세부, 인천~조호르바루 등 동남아 2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진에어는 지난 20일 인천~클락, 부산~클락 등 2개 노선의 운휴를 결정했다. 티웨이항공의 경우 지난 19일부터 괌 주정부가 입국제한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마지막 남은 국제 노선인 인천~괌을 운항 중단하기로 했다. 역시 괌 노선을 운항 중이던 제주항공과 대한항공의 노선도 운휴 조치됐다.

이에 따라 국내 항공사 중 국제선 노선 운항을 아예 접은 항공사는 모두 5곳이 됐다. 에어서울은 이달 초 일찌감치 셧다운에 들어갔고 지난 9일 일본 정부의 입국제한 조치로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등이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지난해 말 취항한 플라이강원도 지난달부터 국제선 운항을 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지정된 가운데 현재 각국은 입국제한 조치로 빗장을 걸어잠그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20일 기준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한 국가는 총 66개국에 달한다.

뉴스1

19일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외교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해 전세계에 '여행유의'를 의미하는 1단계 남색경보를 발령했다.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다수 국가와 지역에서 출입국 및 이동제한 조치를 시행하는 등 우리 국민 안전 관련 불확실성이 커졌고 해외에서 우리 국민의 감염 우려도 높아졌다는 판단이다. 2020.3.19/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정상 운영 중인 제주항공과 진에어의 남은 국제선도 언제 운휴조치될 지 모르는 상황이다. 특히 필리핀의 경우 22일부터 모든 외국인에 대한 비자발급을 중단하는 등 사실상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기로 하면서 진에어의 세부 노선 역시 중단될 가능성이 높다.

항공사들은 운항 재개 시점을 특정짓는 데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LCC 한 관계자는 "상대국 정책 방향이 언제 또 바뀔지 모르는 상황이어서 대부분의 항공사들이 운항 재개 날짜를 잡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 대형항공사(FSC) 역시 미주·유럽 등 장거리 국제선 노선 감축을 확대하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총 8개의 노선 중 유일하게 운항 중이던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을 4월부터 비운항하기로 했다. 대한항공도 전체 12개 유럽 노선 중 인천~파리, 인천~런던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미국의 경우 대한항공은 8개 노선만을, 아시아나항공은 3개 노선만 유지 중이다.

항공업계는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올해 상반기 매출이 6조3000억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적 항공사의 3월 둘째 주 국제선 여객 수는 13만844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7% 급감하는 등 사실상 고사 위기다.

이에 따라 업계에선 현금 유동성 즉시 지원 등 정부의 전향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미 정부가 발표한 착륙료 및 주기료 감면 등 대책은 연명하는 데 그칠 뿐 장기적 관점에선 버티기 힘들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앞서 지난달 정부가 밝힌 3000억원 지원책 역시 발표된 지 한 달이 지난 현재 3곳 항공사에 400억원이 책정된 게 전부다.

허희영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는 "항공산업은 국가기간산업으로 다른 산업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해외 정부 사례를 참고해 전향적인 지원이 절실하다"며 "국토부만의 지원책 보다는 유관 부처와 결합한 컨트롤타워로 코로나19 사태를 관리·해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ward@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