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연,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벤처대출 도입 방안'
"韓, 벤처 스케일업 위한 중·후기 투자 부족"
"은행·벤처캐피탈 협업으로 벤처대출 시장 조성해야"
지난달 7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국벤처투자에서 열린 ‘2020년 한국벤처투자 업무보고’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발언하고 있다. 왼쪽은 이영민 한국벤처투자 대표. (사진=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호준 기자] 벤처기업의 ‘스케일업’ 촉진에 ‘벤처대출’(Venture Debt) 제도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벤처대출 제도는 벤처캐피탈(VC)로부터 지분투자를 받은 벤처기업에게 제공하는 모든 형태의 대출을 뜻한다.
중소기업연구원은 2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벤처대출 도입 방안’을 발표했다. 연구원은 벤처기업의 고성장, 이른바 스케일업 활성화가 세계 주요국의 중요한 정책방향이 되었으나, 한국은 미국 등 주요 국가들에 비해 중·후기 투자는 부족한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의 벤처 신규투자금액 등 전반적인 양적 지표는 꾸준히 증가했지만, 이를 확실한 경제 성과로 후속 벤처투자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연구원은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스케일업 촉진을 위해 정책자금(모태펀드와 정책보증)을 활용해 국내 벤처금융시장에 벤처대출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스케일업이 활발한 미국에서는 다수의 벤처기업이 성장단계별 지분투자와 더불어 부채성 자금인 벤처대출을 받고 있으며, 이는 미국에서 스케일업이 활발한 주요 요인 중 하나로 파악된다고 연구원 측은 설명했다.
다우존스 벤처소스 (Dow Jones Venture Source)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28%의 벤처기업이 벤처대출을 받았으며 2015년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미국 벤처기업 중 47%가 벤처대출 제공 금융기관인 실리콘밸리 은행 (Silicon Valley Bank)의 벤처대출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대출을 받은 기업은 후속 지분투자를 받기 전까지의 투자공백을 방지하고, 지분희석을 방지해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 대출심사에 따른 경영 투명성도 높일 수 있다.
연구원이 벤처대출 국내 도입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창업 5년 미만 기업 중 41.6%와 3년 이내에 후속 지분투자계획이 있는 기업 54.9%가 벤처대출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또 60%의 벤처기업이 벤처대출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홍종수 중소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미국은 벤처대출 제공 금융기관과 벤처캐피탈의 오랜 기간에 걸친 협업을 바탕으로 벤처대출 시장이 존재하고 활성화 될 수 있었다”며 “국내에서는 주요 대출 제공 금융기관인 은행과 벤처캐피탈의 협업 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벤처대출의 국내도입을 위해서는 두 기관의 협업 확대 및 경험의 축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홍 부연구위원은 “벤처대출 도입 초기 단계에서 은행권과 벤처캐피탈의 협업관계 구축을 위해 정책자금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모태펀드가 출자하는 벤처대출 전용펀드를 만들고, 정책보증기관(기술보증기금·신용보증기금)의 벤처캐피탈 후속투자와 연계해 보증을 제공하는 협업형 보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