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음악에 실시간 차트, 의미 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기영 플로 대표 인터뷰

“플랫폼 이용자 취향 존중

음악 콘텐트 다양성 기여”

중앙일보

이기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차트’ 위주의 국내 음악 플랫폼에 반기를 들고 탄생한 음악 플랫폼이 있다. 2018년 12월, 취향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업계 최초로 선보인 ‘플로’다. 플로는 이달 18일 1시간 단위의 실시간 차트를 폐지하고, 플로만의 차트(24시간 단위)를 출시했다. 이런 파격 행보에 힘입어 플로는 멜론·지니뮤직에 이어 월간 실사용자(MAU) 313만 명(1월 기준)에 달하는 음악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플로의 기획 단계부터 참여해 지난해 3월부터 플로를 서비스하는 드림어스컴퍼니의 수장이 된 이기영(44·사진) 대표를 19일 강남구에 위치한 플로하우스에서 만났다. 그는 한 시간 단위의 실시간 차트 폐지에 대해 “음악이 뉴스도 아닌데, 뉴스 콘텐트처럼 실시간으로 다루는 것은 음악이란 콘텐트 특성에도 맞지 않고 높아진 음악 소비자의 눈높이에도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Q : ‘실시간 차트’를 없앤 배경은.

A : “기존 실시간 차트는 ‘페이크 스트리밍’으로 재생수를 높여 차트에 진입할 수 있고, 차트에 의해 재소비 되면서 순위가 강화되는 왜곡이 발생했다. 이렇게 시간 단위로 핫하게 싸우는 구조면 AI 할아버지가 와도 차트가 안 바뀐다. 플로는 24시간 동안 인공지능 머신러닝을 통해 비정상적인 사용 패턴을 제외한다.”

Q : 실시간 차트가 왜 문제인가.

A : “플랫폼 사업자는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첫 화면 상단에 넣는다. 네이버의 검색창과 페이스북의 포스팅 입력창이 대표적 예다. 그런데 음악 플랫폼 상단엔 뭐가 있나. 내 취향과 상관없는 천편일률적인 실시간 차트, 최신앨범 소개다. 최신앨범 소개는 사실상 광고판이다. 한 달에 8만곡의 신곡이 쏟아지는데, 최신 앨범에 걸리지 않으면 사라진다. 플랫폼이 권력화되고 상업적인 속성이 서비스를 지배하게 된다. 플로가 일으킨 변화는 최신앨범의 편집권을 플랫폼 자의가 아닌, 플랫폼을 사용하는 이용자의 취향에 맡기자는 것이다.”

Q : 다른 플랫폼 사업자가 이런 관행을 못 벗어 났던 이유는.

A : “1위 사업자(멜론)는 변화할 이유가 없고, 나머지 사업자들은 변화할 용기가 없었다. 한마디로 시장이 거대한 ‘서비스 담합’ 상태에 빠져있었다.”

Q : 기존 관행에 반기를 든 셈인데, 결과는.

A : “기존 음악 플랫폼 서비스 시장을 고인 물에서 흐르는 물로 바꿔놨다는 데 의미가 있다. 멜론·지니뮤직 등이 개인화 탭을 만드는 것을 보니 이 길이 맞는 것 같다. 서비스의 다양성뿐 아니라 음악 콘텐트의 다양성에도 기여했다.”

김경진 기자 kjink@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