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될때까지 달러 찍는다` 파월도 `헬리콥터 머니`…추락하는 시장 속 美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지난 3일(현지시간) 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를 발표하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 출처 = 워싱턴포스트(W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발 코로나바이러스19(COVID-19) 속 미국 증시 추락세를 보다 못한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사실상 '달러 찍어내기'를 선포했다. 지난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 당시 밴 버냉키 연준 의장이 했던 '헬리콥터 머니'처럼 제롬 파월 현 연준 의장도 시장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무제한 돈풀기(양적 완화·QE)를 하겠다고 나선 셈이다.

매일경제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사실상 '달러 찍어내기'를 선포했다. [사진 출처 = 연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현지시가) 연준은 "코로나바이러스 위기는 거대한 고난"이라면서 "시장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금액(in the amounts needed)만큼 자산 매입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준금리 외에도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사실상 무제한 달러를 풀겠다는 의미다. 연준은 3000억 달러(약 380조원) 한도에서 기업과 가계를 지원하는 새 대책도 내놨다.

이는 지난 주 15일 연준이 긴급 발표를 통해 기준금리인 연방 기금금리를 기존 1.00~1.25%에서 0~0.25%로 전격 인하하고, 7000억 달러(약 843조 5000억원) 규모 미국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를 매입해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기로 한 데 이은 추가 조치다. 연준 등 중앙은행의 금융 통화정책은 크게 3가지로 대표된다. 대표적인 것이 기준금리 조정이고 그 다음으로는 환매조건부 채권(RP) 거래 개입을 의미하는 공개시장조작정책, 그 다음으로는 시중 은행의 지급준비율을 조정해 통화량을 조정하는 지급준비제도다. 사실상 제한없이 필요한 만큼 자산을 사들여 돈을 푸는 것은 흔히 쓰는 방법은 아니라고 WSJ등이 전했다.

매일경제

지난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 당시 밴 버냉키 연준 의장은 `헬리콥터 머니`로 불리는 무제한 양적완화(QE)를 단행한 바 있다. 연준이 이같은 조치를 취한 것은 금융시장의 코로나19사태 공포를 잠재울 수단이 많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림은 헬리콥터 머니 풍자화. [사진 출처 = 홍콩신문 스탠더드·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파월 의장은 그간 QE라는 단어 사용을 기피해왔지만 중국발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어쩔 수 없이 무제한 QE를 꺼내들었다. 미국 CNBC는 23일 연준 기습 발표를 두고 '돈 찍어내기'(money printing) 새 국면이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미국 투자 자문사 브리클리의 피터 부크바 최고 투자책임은 "우리는 이제 무한 QE시대를 맞았다"고 봤다. 또 MUFG유니언 뱅크의 수석경제학자인 크리스 러프키는 "연준이 현재 수직으로 자유 낙하 중인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빼든 카드"라면서 "중앙은행은 이제 '은행들의 은행'인 최종 대출 기관이 아니라 최후 (채권 등 금융상품)구매자"라고 반응했다.

23일 연준 기습 발표는 앞서 상원에서 연방정부가 마련한 국민기본소득 등 4조 달러 규모 '코로나 재정'이 부결되고, 코로나 판데믹 사태에 따른 항공·관광업계 발 일자리 대란 우려 속 실업률 폭등 가능성이 높아진 데 따른 긴급대책이다. 특히 코로나 재정이 연방 상원에서 부결되자 23일 아시아 증시에서 한국과 호주 등 증시가 급락했고 이어 선물시장에서 미국 증시 3대 대표 지수(우량주 중심 다우존스·대형주 중심 S&P500, 기술주 중심 나스닥)가 일제히 낙폭을 확대해 시장 공황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매일경제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증시에서 또 다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돼 시장이 최악의 충격과 공포에 휩싸이자 뉴욕연방준비은행이 이날 1.5조 달러(우리 돈 1810조 5000억원) 단기 자금을 시장에 긴급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사진 출처 = CNBC영상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회 승인을 거쳐야 하는 정부의 재정정책과 달리 금융통화정책은 더 빠르게 결정·집행을 할 수 있어 정책 내부시차가 적은 편이다.

앞서 연준은 지난 3일 긴급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리고 15일에는 추가로 1%포인트 인하했지만 뉴욕 증시는 끝없는 하락세를 그어왔다. 지난 18일 뉴욕증권거래소에 또 다시 1단계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지난 9일과 12일, 16일에 이어 2주 만에 네 번째였다. '시간이 약'이라는 월스트리트 증권가의 체념 속에 연준도 무제한QE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던 셈이다. 연준의 23일 발표에도 불구하고 뉴욕 증시에서는 개장 직후 다우존스 지수가 500포인트 떨어지는 등 불안하게 출발했다.

[김인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