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코로나19 봉쇄' 언제 풀어야하나…고민 시작한 세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부활절 이전 정상화" 발언 후 논란 불붙어

경제-보건학계 치열한 토론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각국의 이동 제한과 봉쇄 조치가 장기화되면서 전 세계가 해제 시점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적극적인 방역 조치에 반비례하는 경제적 타격을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는 주장이 점차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부활절(4월 12일)에 봉쇄 조치를 사실상 해제하길 원한다며 논의에 불을 지핀 만큼 당분간 경제학계와 보건학계를 중심으로 치열한 토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향후 수주, 수개월간 각국 정부는 언제 봉쇄 조치를 해제해야할지, 코로나19 재확산 가능성은 없을지, 어느 정도 수준의 경제적 타격을 견딜 수 있을지를 두고 골치 아픈 고민을 하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고민이 불가피한 것은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발원한 코로나19가 아시아, 미국, 유럽 등으로 점차 확산해 3개월 이상 사태가 지속되면서 경제에 치명타를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계ㆍ기업의 소득 감소, 일자리 감소와 기업 도산 우려 증가, 기업증시 폭락 등 경제적 타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논란에 불을 댕긴 건 트럼프 대통령이다. 그는 지난 22일 이후 연일 트위터, 기자회견 등을 통해 "문제(코로나19)보다 이에 대한 치료법으로 더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놔두지 않을 것"이라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 등을 해제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바이러스보다 경제적 고통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 등 다른 여파가 있을 수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실제 봉쇄 기간이 길어지면 생산ㆍ소비 등이 이뤄지지 못해 경제적 여파는 클 수밖에 없다. 옥스포드이코노믹스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봉쇄조치가 3주동안 진행될 경우 소비자 50~90%가 향후 3개월간 소비를 5~8%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봉쇄기간이 6주로 늘어나면 소비 감소폭은 9~16%로 두배 가량 늘고, 석 달 간 이동제한 등을 실시하면 소비는 최대 32%까지 줄어든다고 덧붙였다.


문제는 당장 봉쇄 조치를 해제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잡히지 않고 있다. 존스홉킨스대 통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30분 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46만명, 사망자는 2만명을 넘어섰다. 미국 확진자 수는 하루에 1만명 이상 늘면서 이날 6만명을 넘어섰고, 스페인도 사망자가 하루새 443명 늘어 누적 사망자 수가 중국(3281명)보다 많아졌다.


이탈리아와 영국 등 유럽을 비롯해 중남미, 아프리카 등에서는 여전히 환자가 속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건학계나 의료진은 이동 제한 조치가 더 필요하다고 강하게 조언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내에서도 보건 전문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를 해제하는 부분에 대해 부정적이다. 또 비용을 줄이기 위해 사망자가 증가하는 상황을 외면하기에는 윤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자칫 봉쇄 조치를 잘못 풀었다가 코로나19 사태가 재발해 경제적 여파마저 더욱 커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마크 잔디 무디스 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N방송에서 "부활절까지 비즈니스를 재개하면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면서 "그건 오히려 불황을 처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만약 사람들이 병원에 과도하게 몰리거나 가족 등이 죽게 돼 패닉에 빠진다면 봉쇄 조치를 유지했을 때보다도 경제가 더 악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 브루수엘러스 RSM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바이러스 종식 이전에 경제활동을 재개하면 이를 또다시 멈추게 하는 제2, 제3의 사태로 발생할 가능성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조치는 정상화 여부의 가늠자가 될 전망이다. 중국은 25일부터 후베이성을 시작으로, 다음달 8일에는 진원지인 우한에 대한 봉쇄 조치를 풀기로 했다.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을 우려해 전면적인 재개 형태가 아니어서 경제 정상화가 이뤄지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지도 주목된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