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1월부터 기관·업소 수칙 안내, 동선 따라 검체 검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강남구보건소 관계자들이 지난 19일 관내 요양시설을 찾아 한 어르신에게서 코로나19 검사를 위한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강남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는 지난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확진환자가 나오자 지역 사회 확산을 막기 위해 전방위적으로 선제 조치를 취했다.
서울신문

강남구 방역 관계자들이 지난 20일 개포2동의 한 교회를 찾아 방역하고 있다.강남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는 1월 28~29일 코로나19 발생 초기에 지역 의료관광 협력기관 124곳, 식품위생업소 1만 5304곳, 숙박업소 90곳 등에 감염증 예방행동수칙 안내문을 발송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했다.

검체 검사는 독보적이다. 확진환자 거주지나 근무지, 방문지를 찾아 건물 특성과 구조를 파악, 동선이 겹칠 수 있는 주민들은 증상 유무와 상관없이 검체 검사를 했다. 지난 6일부턴 감염병 고위험 집단시설인 요양원 8곳과 데이케어센터 15곳 등 지역의 요양시설 23곳을 찾아 어르신 539명을 대상으로 검체 검사를 하고 있다. 지난 23일 기준 243명(45%)을 검사했고,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 구 관계자는 26일 “지금까지 3828명을 검사했다”며 “다른 자치구보다 한 배 내지 두 배 많다”고 했다.

복지시설·다중이용시설·학원가 등 2546곳을 8500여 차례 방역했고, 아파트 278단지 승강기 2996곳과 구 청사를 비롯한 22개 동주민센터, 어린이집 200곳, 사회복지시설 42곳의 승강기 버튼과 출입구 손잡이에 항균필름을 부착했다. 구 관계자는 “선제 조치로 감염 확산을 막고, 주민들의 과도한 불안감과 공포감도 줄일 수 있었다”고 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