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소비심리와 경제상황

코로나19 영향에 3월 소비심리 18.5p 급락 ···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비자심리지수 78.4 기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소비심리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얼어붙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0년 3월 소비자동향조사'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한 달 전보다 18.5포인트 급락한 78.4를 나타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컸던 2009년 3월(72.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하락폭 역시 소비심리를 매달 조사하기 시작한 2008년 7월 이후 최대다.

한은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한 영향에 경기와 가계의 재정 상황 관련 지수가 모두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세부 항목을 보면 현재경기판단 소비자동향지수(CSI)가 28포인트 급락한 38로 2009년 3월(34) 이후 가장 낮았다. 앞으로의 경기가 지금보다 좋을지에 관한 지수인 향후경기전망 CSI는 14포인트 내린 62로, 2008년 12월(55) 이후 가장 낮았다.

생활형편전망 CSI는 10포인트 꺾인 83, 가계수입전망 CSI도 10포인트 내린 87, 소비지출전망 CSI는 13포인트 하락한 93이었다. 세 지수 모두 2009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현재생활형편 CSI는 8포인트 내린 83으로 2012년 1월과 같았다.

일자리를 구하기 쉽지 않고 월급인상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예상도 늘었다. 취업기회전망 CSI는 17포인트 급락한 64로 2009년 3월(55) 이후 가장 낮았다. 임금수준전망 CSI는 7포인트 내린 109로 2008년 7월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후 가장 낮았다.

앞으로 1년간의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한 달 전과 같은 1.7%로 나타났다. 다만 향후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접어든다고 생각은 소비자가 4.2%로, 한은의 조사 이후 가장 많았다.

한편 CCSI는 경제 전반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소비자심리지표다. CCSI가 100보다 클 경우 소비자의 기대심리가 과거 평균보다 낙관적, 100보다 작을 경우는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아주경제

얼어붙은 소비심리 회생 나선 추경 (서울=연합뉴스) 강민지 기자 =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확정된 추가경정예산(추경)으로 침체된 소비 심리 회복의 귀추가 주목된다. 지난 17일 소상공인 자금 공급 확대, 민생안정자금 증액 등을 포함한 추경은 11조7천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사진은 1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가 한산한 모습을 보인다. 2020.3.18 mjkang@yna.co.kr/2020-03-18 15:01:05/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동 기자 dong01@ajunews.com

윤동 dong01@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