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특별기고] 코로나 국제공조 이제 실천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3월 26일,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주요 20개국(G20) 특별 정상회의가 개최됐다. 처음으로 화상으로 열린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는 또한 처음으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대응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돼 글로벌 경제를 강타한 이 시기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배경으로 출범한 G20 정상회의가 국제적 공조를 이끌어야 하는 중요한 사명을 띠고서 다시 한번 나서게 되어 시기 적절하면서도 강력한 힘을 보여줬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번 정상회의에서 '방역 협력으로 위기 공동 극복'을 주제로 한 중요 연설을 통해 '4대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첫째, 코로나19 전 세계 방역전을 단호히 펼친다. 둘째, 국제적인 합동 예방통제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전개한다. 셋째, 국제기구의 역할 발휘를 적극 지지한다. 넷째, 글로벌 거시경제 정책 공조를 강화한다. 중국 측이 국제 방역 협력을 추진하는 조치와 이니셔티브들은 중국의 책임감을 보여줬고 세계 각국이 국제협력을 벌이고 글로벌 시장의 자신감을 키우는 데 더욱 강력한 힘을 불어넣었다.

코로나19의 대유행은 글로벌 생산 및 수요에 전반적인 충격을 줬으며 국제 경제 금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계 경제 침체를 막기 위해 시 주석은 G20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처방전"을 제시해 각국이 연대해 거시정책 대응력을 강화하고 강력하며 효과적인 재정정책과 화폐정책을 실행해 글로벌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글로벌 산업체인 및 공급체인의 안정성을 유지할 것을 호소했다. 문재인 대통령 또한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을 채택해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했다.

글로벌화 시대에는 산업체인, 공급체인과 가치사슬이 서로 연결돼 고도의 융합을 이루고 있다. 코로나19의 대유행은 글로벌화의 역사적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지만 지구촌 주민들의 현재와 미래에 분명히 영향을 줄 것이다. 국제사회의 보편적인 이익을 위해서는 주요 국가들의 공동 행동이 필요하다. 시 주석은 G20 정상회의에서 관세 감면, 무역장벽 철폐, 무역 원활화 등 '3개 조치'를 제시했다. 이는 국제경제의 맥을 끊는 현재의 난관을 최대한 빨리 극복하고 전 세계가 치명적인 피해를 입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중국 국민이 합심하고 총력을 기울여 전염병에 대응한 노력과 도움이 필요한 국가들에 사심 없이 지원을 한 중국의 선행은 많은 이들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중국이 수입과 대외 투자를 적극 확대하기로 한 약속은 고무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중국의 시장 진입 규제 완화 및 비즈니스 환경의 최적화에 대한 전망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경제 성장의 엔진이다. 중국 경제가 전염병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일시적이며, 중국의 경제사회 질서는 빠르게 회복되고 있다. 시 주석은 G20 정상회의 다음날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를 열어 전염병 대응과 경제사회 발전의 일괄적 추진 관련 업무를 연구하고 배치했다. 회의에서는 거시적 정책의 조정과 실행을 강화하고 국내 시장 수요 방출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하며 특별국채 발행과 세금 감면, 요금 인하, 금융 서비스 보장 조치 등이 제기됐다.

중국에는 '여러 사람이 힘을 합쳐 땔감을 모아 태우면 불꽃이 거세어진다'라는 말이 있고 한국에도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속담이 있다. 인류가 수천 년의 역사를 이어오며 찬란한 문명을 창조할 수 있었던 관건은 바로 단결, 공조와 협력에 있다. 전 세계적 공중 보건 위기를 대응하는 과정에서 인류 공동체 구축의 시급성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중·한 양국은 서로 도우면서 합동 방역 체제를 가장 먼저 수립해 초국경적 방역 협력의 모범을 세웠다. 중국은 한국 등 국제사회와 함께 도전에 맞서 신속히 행동하며 함께 전염병을 극복하고 공동 발전을 도모해 인류의 미래를 위해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