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부산시, 인공지능 기술로 당뇨병 위험 사전 차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부산시는 당뇨병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수리 모델링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당뇨병 예방관리 플랫폼 개발사업'을 올해 처음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역 당뇨병 유병률은 11.9%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관리율은 전국 대비 낮은 편이다. 당뇨병은 한번 발병하면 심각한 합병증 유발 등 관리와 완치가 어려운 질환이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 시 중증 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어 발병 전 단계부터 예방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는 부산대학교병원,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부산경제진흥원과 협업해 4월부터 당뇨병 예방관리 플랫폼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당뇨병 발병 위험 대상자의 혈당측정수치, 건강상태, 식습관 정보 등 데이터를 활용해 당뇨병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예방교육과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해 지역의 당뇨병 유병률을 낮추는 것이 목표다.

시는 이 사업에 3년간 총사업비 15억원을 투입한다. 2021년까지 수리적 분석을 통한 당뇨병 발병 원인 예측 모델과 예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2022년에는 병원검진센터 및 지역 보건소를 통해 시민 대상 시범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 사업은 4차산업의 핵심기술인 빅데이터 분석, AI등을 활용한 시민맞춤형 의료서비스로 시민 건강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수리적 분석 알고리즘을 의료헬스케어 분야에 접목해 새로운 시장 창출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말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