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금통위원들 "기준금리 0.5%P 인하 외에 추가 조치도 재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제6차 임시 금통위 의사록 공개

이데일리

사진=한은 제공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지난 16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하한 한국은행 임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일부 위원들이 기준금리 인하 이외의 추가 조치도 강구돼야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1일 공개한 ‘제6차 금융통화위원회(임시) 의사록’에 따르면 A 위원은 “기준금리 인하와 더불어 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방안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있어야 하겠다”고 말했다.

B 위원 역시 “기업들이 그들의 생산역량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현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여건을 최대한 확보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판단된다”며 “여러 추가적인 방안들에 대한 도입도 상황의 전개에 따라 재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6일 한은은 사상 세번째 임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이로써 한국 기준금리는 사상 최저치이자 최초로 0%대에 진입했다. 이후 한은 금통위는 사상 처음으로 ‘무제한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을 전격 시행하는 등 ‘한국형 양적완화(QE)’에도 시동을 걸었다.

정책 여력의 급격한 소진이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임지원 위원으로 추정되는 한 위원은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본격적으로 고조된다면 국내 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전통적 통화정책의 여력을 급격히 소진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말했다.

이는 추가적인 금융시장 불안에 대한 정책카드를 남겨놔야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임 위원은 0.25%포인트 인하 의견을 제시하면서 이번 임시 금통위에서 소수의견을 피력한 바 있다.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거시경제 전반에 대한 충격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공통된 진단이다. D 금통위원은 “경제주체들의 심리위축으로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간에 악순환적 연계가 상호작용하면서 향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같이 금융시스템의 안정까지 저해되는 극단적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E 위원은 “현재 상황은 코로나19 사태가 미시적·부문별 충격만이 아닌 거시적·총수요 충격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러한 총수요 위축이 장기화할 경우 이미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던 우리 경제의 기조적 인플레이션이 더욱 낮아지면서 디플레이션 위험을 고조시킬 우려도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