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 설명
식자재 유통은 농·수·축산물 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해외 식자재 등을 확보해 국내외 고객사에 제공하는 사업.식자재 유통산업은 진입장벽이 낮으나 대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돼 있어 상위 3개 업체(CJ프레시웨이, 현대그린푸드, 신세계푸드)가 주도. 또한 단체급식과 식자재 유통업은 내수 위주이고 수급의 사전결정이 일반적이어서 경기변동에 크게 반응하지 않음.
국내 식자재 유통 시장은 연간 100조원 규모이며, 2020년엔 170조원 부근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 중 대기업이 12%를 차지하고 나머지 대부분을 중소·영세 업체가 담당. B2B 식자재 유통 시장 규모는 2018년 35조 5000억원.
배달서비스 시장 성장으로 외식업체 점포당 매출이 상승하고 있어 식자재 유통업체의 물류 효휼성 및 수익성 개선이 전망(흥국투자증권). 또한 식자재 유통의 핵심 전방산업인 국내 단체급식 시장은 병원, 기업, 아파트 등의 수요 증가로 2020년까지 약 13조원 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유진투자증권).
단, 외형성장은 지속하고 있으나 인건비 부담과 경기 침체에 따른 외식 수요 감소 가능성, 단체급식 시장 포화 등은 리스크로 지목됨.
(마지막 업데이트 2019. 11. 28.)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 | 등락률 | 종목설명 |
---|---|---|
대상(001680) | +6.49% | 종합식품사업 및 소재사업을 영위하는 식품 전문 업체. 계열사 대상베스트코(지분율 100%)를 통해 그룹 내부와 호텔, 전국 프랜차이즈 사업자에 식자재유통. |
동원수산(030720) | +3.84% | 원양어업 업체이나, 일본 도시락 1위 업체인 호토모토사와 손잡고 도시락 사업 및 식자재유통 사업 본격화. |
푸드나무(290720) | +3.46% | 육류 가공 제품 등을 제조∙판매하는 전자상거래업체. 2011년 국내 최초 닭가슴살 전문 플랫폼 '랭킹닭컴'을 만들고 운영하는 기업. 푸드테크 기업으로는 업계 최초. |
한국가구(004590) | +3.16% | 주문형 가구를 국내 위탁 생산 및 수입하여 유통 판매하는 기업. 자회사 제원인터내쇼날(지분율 100%)을 통해 제과·제빵 원료 등의 식품류를 도·소매. |
동원F&B(049770) | +2.40% | 참치캔을 주력으로 하는 동원그룹 예열의 종합식품회사. 자회사 동원홈푸드(지분율 100%)를 통해 동원그룹 내 식자재유통 담당. |
현대그린푸드(005440) | +1.82% | 현대백화점 그룹의 식자재 유통업체. 푸드서비스 사업부문에서 산업체와 오피스, 단체급식 사업을 영위. |
SPC삼립(005610) | +1.65% | SPC그룹 계열사로 유통사업부문에서 식재료 및 관련 식자재 유통사업 영위. 제빵 및 프랜차이즈 사업도 영위. |
CJ프레시웨이(051500) | +1.29% | CJ그룹 계열의 국내 1위 식자재 유통 전문기업. 병원 위탁 급식 시장내 1위. |
신세계푸드(031440) | +0.74% | 신세계 그룹 내 식자재 유통 담당하고 있으며, 단체급식과 외식 사업도 영위 중. PB(자체상표) 상품 및 HMR(가정간편식) 개발에도 적극적. |
롯데푸드(002270) | +0.33% | 롯데그룹(롯데마트, 백화점 등) 내 식자재유통을 담당. 유지식품, 육가공, 빙과 등 생산. |
삼성물산(028260) | -0.33% | 급식사업, 식자재공급사업을 영위하는 '삼성웰스토리' 지분율 100% 보유. |
음식료 - 식자재유통 테마 차트
3개월 등락률 -24.0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개월 등락률 -18.2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주 등락률 +9.59%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