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스웨덴, '집단면역' 포기하나…이동제한 강화법 도입할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김민정 기자] 스웨덴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도 봉쇄 없이 일상을 유지하는 방안을 유지했다가 확진자와 사망자가 계속해서 늘어자자 국민들의 이동을 강력하게 제한하는 새로운 법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다.

5일(이하 현지시간) 스웨덴 국영방송 SVT에 따르면 집권 사민당 정부가 야당들로부터 공격을 받은 이후 국민들의 이동을 지금보다 강하게 규제하는 법안을 이번 주 중 의회에 상정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법안에는 공항이나 철도역, 버스역 등을 폐쇄하고 상점 및 식당들의 영업을 금지한다. 또 사람들이 모이는 것을 제안하고, 의료장비들을 확보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유럽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적인 이동제한, 휴교, 휴업 등 봉쇄령을 내린 것과 달리 현재 스웨덴 정부는 재택근무와 고령자 자가격리 등을 권고하고 있긴 하지만 시민들은 자유롭게 외출해 공원, 상점, 카페 등을 평소처럼 다닐 수 있다.

이데일리

(사진=AFPBNew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웨덴의 이같이 느슨한 코로나19 정책을 두고 이른바 ‘집단 면역’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기도 했다.

집단면역은 백신이나 감염으로 한 집단에서 일정 비율 이상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되는 것을 가리키는 면역학 용어다.

물론 정부는 ‘집단 면역’을 공식적인 정책으로 내세운 적이 없다. 스웨덴 정부의 수석 전염병학자인 아녜르스 테그넬은 가딘언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신속한 집단면역 구축을 정부가 추진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렇지만 테그넬은 스웨덴 정부의 목표가 그쪽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것은 부인하지 않았다.

실시간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이날 스웨덴의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7206명, 사망자는 376명으로 집계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