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불견딤구조 아시나요?…북한 건설용어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내화구조 의미…70년 단절로 차이

건설연, 1100여개 비교분석 공개

아시아투데이

/제공 = 건설기술연구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최중현 기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은 9일 남한과 북한의 건설기준에 사용되는 용어를 비교 분석한 ‘남북한 건설기준 전문용어집’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남북한은 분단 이후 약 70년 동안 서로 다른 문화와 환경으로 건설 기술 발전에 격차가 생기고 건설기준에 사용되는 용어에서도 차이가 발생하게 됐다.

우리나라에서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를 말하는 내화구조가 북한에서는 ‘불견딤구조’로 통칭하고 있다. 이러한 용어의 차이는 향후 북한 인프라 공동 개발의 장애요인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다.

실제 시공 현장에서 혼재된 용어의 사용은 실무자들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문제를 시작으로 분쟁과 사회적 비용 발생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건설연 국가건설기준센터는 이러한 상황을 사전에 해결하고 실무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남북한 경협 시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남북한 건설기준 전문 용어집을 마련했다.

남북한 건설기준 전문용어집은 남한의 설계기준(KDS) 및 표준시방서(KCS)에서 다루고 있는 4955개 용어와 북한건설용어집(국토교통부, 2015)에서 정의하는 북한 건설 용어 5365개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정리된 용어는 1100여 개 수준으로 지반, 구조(콘크리트, 강), 내진 등 17개 국가 건설기준 분야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

남북한 건설기준 전문용어집은 국가건설기준센터의 기술자료 게시판에서 누구나 쉽게 받아볼 수 있다.

한승헌 건설연 원장은 “남북한 건설기준 전문용어집은 남북한 경제협력 시 사업에 참여하는 건설 실무자들의 소통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며 “나아가 남북한 건설산업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