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최대 8채까지···'집 부자' 출마자들 부동산 공약 '역시나'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4·15 총선 후보자 주택 등 보유 상위 명단. 2020 총선주거권연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재순 미래통합당 후보(경기 수원시무)가 주택 6채·오피스텔 2채를 소유해 4·15 총선에 나서는 3개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정의당) 출마자 중 가장 많은 집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개호 후보(전남 담양·함평·영광·장성군)가 5채의 주택을 소유해 최다 집부자로 집계됐다.

9일 ‘2020 총선주거권연대’는 3개 정당 지역구에 출마한 국회의원 후보자들이 신고한 복합건물(상가+주택)과 오피스텔 등의 수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주택 오피스텔 등을 3건 이상 신고한 후보자는 미래통합당이 24명(234명 중 10.2%)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 더불어민주당이 12명(251명 중 4.7%), 정의당 1명(74명 중 1.3%) 순이었다.

주택 신고가액 ‘1위 후보’는 박덕흠 미래통합당 후보(충북 보은·옥천·영동·괴산군)로 주택수는 4채였지만 61억원을 웃돌았다. 김병관 더불어민주당(성남시 분당구갑) 후보는 주택을 1채만 보유했지만 신고가액이 58억원을 넘어 박 후의 뒤를 이었다.

주거권연대는 “주택 3건 이상 보유한 후보자가 가장 많은 정당은 공시가격 현실화와 보유세 강화 반대 공약을 내건 미래통합당”으로 “미래통합당이 다주택자들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은 우연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더불어민주당도 주택 3건 이상 보유한 후보자가 미래통합당보다는 적었지만 그 수가 12명에 달했다”며 “최근 민주당 지역구 후보자 중 공시가격 현실화를 반대하거나 1주택자의 종부세 감면을 주장하며 정책 변경을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신의 경제적 이익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주거권연대 관계자는 “다주택자 후보들이 경제적 이해관계와 충돌하는 보유세 강화와 공시가격 현실화, 금융규제 강화 등을 통한 주택가격 안정화 정책에 찬성할지 의문”이라며 “이번 총선에서 유권자들이 주거 불평등을 해소하고 주거권에 한표를 행사할 수 있게 계속 정보제공 활동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성 기자 kes@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