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광주형 일자리 ‘시민이사제’ 제안 검토…한국노총 “노동계 배제 수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지역 시민단체 13일 이용섭 시장 간담회

박광태 광주글로벌모터스 대표 “노사상생 중요”

윤종해 한국노총 의장 “노동존중 시 태도 핵심”


한겨레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9일 전남 함평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 회의를 열어 결의문을 채택했다. 정대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노총이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한 뒤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성공시키려면 시민이사제 등을 도입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다. 하지만 지역 노동계에선 제도보다 더 중요한 건 광주시의 인식 전환이라며 시민이사제가 노동계를 배제하고 가려는 수순이라고 비판했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9일 노동계 없이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모든 사업 주체가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 광주형 일자리를 성공시키자”고 호소했다. 지난 2일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한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이날 열린 노사민정협의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한겨레

한국노총 광주본부가 지난 2일 광주시청 앞에서 연 기자회견을 통해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하고 있다. 정대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 시민단체 인사들은 지난주부터 세차례에 걸쳐 원탁회의를 열어 중재안으로 광주글로벌모터스에 시민이사제를 도입하라고 건의하는 문제를 논의했다. 광주시민단체 관계자 10명은 오는 13일 이용섭 광주시장을 만나 광주형 일자리 관련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원탁회의 관계자는 “원탁회의 참석자들 사이에 이견이 있지만 시에 중재안으로 시민이사제를 건의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박광태 광주글로벌모터스 대표이사가 지난달 30일 빛그린산단에서 열린 설명회에서 자동차 공장 건립 현황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주글로벌모터스 박광태 대표도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광주형 일자리는 한국노총 등 노동계가 노사 상생을 통해 일자리를 만들자고 제안해 탄생한 것이다. 꼭 노동이사제가 아니더라도 노동이사제에 버금가는 제도를 도입해 회사와의 관계에서 다리 역할을 하게 하면 된다”고 했다. 박 대표가 구상하는 방안은 시민이사제와는 다른 방안으로 알려졌다.

광주글로벌모터스 주주들도 지난 8일 열린 긴급 임시주주총회에서 입장문을 통해 ‘4월29일까지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이행 및 정상화가 되지 않으면 주주총회를 통해 사업 진행 여부 등에 대해 결정한다’며 노동계를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대해 윤종해 한국노총 광주본부 의장은 “광주시가 노동존중이라는 인식을 갖는 게 중요하지 시민이사제 등 제도 도입 여부는 큰 의미가 없다”며 “노동계가 빠지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른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시민단체와 논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노동계를 빼고 사업을 추진하려는 수순”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광주글로벌모터스 투자자 36개사 중 재단법인 광주그린카진흥원(광주시)이 483억원을 출자해 1대 주주, 현대차가 437억원을 투자해 2대 주주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

▶[연속보도] n번방 성착취 파문
▶신문 구독신청▶삐딱한 뉴스 B딱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