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노원구 ‘코로나19 백서’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응 과정·현장 활동 등 담아 향후 효과적 대처 구상

서울 노원구가 ‘코로나19 백서’를 제작한다. 그간의 대응과정을 분석해 성과와 부족했던 점을 되짚어 향후 비슷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하겠다는 구상이다. 노원구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될 즈음부터 약 2개월에 걸쳐 코로나19 대응 백서 ‘기록과 반성’(가칭)을 만든다고 9일 밝혔다.

백서는 노원구 재난안전대책본부가 설치된 1월24일부터 코로나19 사태 종료 때까지 시간대별 대응일지 형태로 정리한다. 피해 현황, 분야별 대책, 현장 활동가 후기 등을 다뤄 위기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노원구 관계자는 “단순히 감염병 대처 과정을 기록하는 것을 넘어 수많은 사람들의 눈물과 헌신, 아쉬움 등을 ‘연대와 협력’에 초점을 맞춰 기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원구만의 차별화된 대응 전략도 백서에 녹인다. 마스크 품귀 현상이 빚어지자 노원구는 모든 주민에게 1인당 2장의 마스크를 배부했다. 전국을 다니며 마스크 110만장을 사 모아 통·반장이 각 가구를 방문해 전달한 것이다. ‘노원 면마스크 의병단’도 이목을 끌었다. 전직 재봉사부터 구두 수선공, 세탁소 운영자 등 기술자와, 청소라도 하겠다는 주부와 대학생, 장애인 등 600여명이 뜻을 모았다. 이들은 모두 3만5000장의 면마스크를 제작해 취약계층에게 나눠줬다. 문재인 대통령에게도 면마스크를 전했고, 김정숙 여사는 감사 편지와 함께 선물로 생강청을 보내 의병단을 격려했다.

이 밖에 백서는 재난안전문자 ‘90자→1000자로 확대’, 서울시 최초 중국인 유학생 임시거주시설 마련, 건물주들의 임대료 인하 운동, 주민들의 기부 행렬 등 민관 협력체계도 조명한다.

백서는 제도적 한계점도 짚는다. 확진자 수가 급증했지만 자치구에 역학조사 권한이 없어 동선 공개가 지체되는 일이 빈번했다. 이에 백서를 통해 제도 개선을 건의한다는 계획이다. 구 관계자는 “확진자 동선 공개 범위도 자치구마다 달라 이것도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오승록 구청장은 “국가든 지자체든 경험을 기록으로 남기면 큰 자산이 된다”며 “이번 백서가 실질적인 매뉴얼이 될 수 있도록 모든 과정을 꼼꼼히 살피겠다”고 밝혔다.

고영득 기자 godo@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