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번 주말 분수령…집단 감염 일어날까 조마조마(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거 부활절 등 대규모 집단행사 예정돼

해외 유입 진행 속 의료기관 전파 여전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0명을 기록했다. 지난주 100명 안팎의 신규 환자가 발생하던 것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것이다. 방역 당국은 사회적 거리 두기의 성과로 보면서도 아직 안심할 단계가 아니라고 강조했다.

◇최근 주된 경로는 해외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1일 0시 현재 신규환자가 30명 늘어 총 누적 확진자는 1만480명이라고 밝혔다. 국민 100명당 1명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았고 국민 중 2%가 확진 판정을 받은 것이다.

이데일리

서울 구로구 새마을회 관계자들이 신도림역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노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주된 유입 경로는 해외다.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1일 0시 전까지 최근 2주간 신고된 1063명의 주요 경로의 경우 해외유입 및 해외 유입 관련이 581명이다. 54.6%에 이르는 규모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의 대유행으로 해외서 머물던 내국인 입국이 한꺼번에 몰렸고 이들이 가족이나 지인 등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며 확진자가 늘었다.

두번째로 많은 감염경로는 병원 및 요양병원 등(30.7%, 326명)이다. 대구 달성군 제이미주병원에서 코호트(동일집단) 격리 중인 환자와 직원 144명에 대해 전수검사를 한 결과 4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따라 지난달 26일부터 현재까지 190명이 확진자로 분류됐다. 환자 176명, 직원 14명이다.

경기 의정부성모병원과 관련해 자가격리자 중 7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아 지난달 29일부터 현재까지 59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환자 21명, 직원 16명, 환자 보호자 및 기타 접촉자 22명이다.

그 외 집단발생 8.3%(83명), 선행 확진자 접촉 3.4%(34명), 조사 중 3.4%(34명) 등도 있다. 경북 예천 접촉자 조사 과정에서 3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아 지난 9일부터 현재까지 8명이 양성판정을 받았다. 현재 관련 감염경로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수도권 대구·경북 제외하면 코로나19 ‘잠잠’

신규 환자 30명 중 18명은 지역에서 감염됐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경기 대구 경북 등 4개 시도를 제외하고는 다른 지자체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코로나19의 전파가 확실하게 줄어든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반대로 보면 찾지 못한 것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권준욱 방대본 부 본부장은 “침묵하고 있는 조용한 감염사례가 있을지도 모른다”며 “더욱더 환자 감시 그리고 적극적인 진단검사 의뢰 등을 통해서 경계를 해야 될 때”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전국적으로 약 81.7%는 집단발생과의 연관성을 확인했지만 9.8%는 기타 조사·분류 중이다. 아직 감염 연결고리를 찾지 못한 ‘깜깜이’ 환자가 1027명에 이르는 것이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염됐는 지가 파악되지 않고 있어 추가 환자는 어디서든 더 나올 수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오는 12일 부활절을 맞아 교회 등에서 대규모 예배를 예정하고 있고 오는 15일 선거도 앞두고 있어 집단감염 우려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은 코로나19의 재유행, 여러 가지 사회적 거리 두기를 완화하면서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가파른 증가를 경고하고 있다. 확진자가 주춤세로 돌아섰다고 해서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를 했다가는 무증상 전파를 통해 다시 환자가 늘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실제로 싱가포르, 대만 등 방역 우수 국가로 평가받는 일부 국가에서 확진자가 다시 늘고 있다.

권준욱 부본부장은 “특별히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에서 대규모의 재유행을 막기 위해서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장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라며 “지금을 생각하지 말고 지난번 대구·경북에서 폭발적인 코로나19의 유행이 어떻게 시작이 됐고, 어떤 규모로 발생을 했고, 그로인한 의료기관에서의 상황이 어떠했는지를 다시 돌이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보여준 (사회적 거리 두기) 참여의 열기를 계속 이어서 4월 안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포함된 생활방역을 통해서 완전히 달라진 코로나19 이후의 일상으로 돌아가서 생활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