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IMF 이후 최대 인상안 걷어찼다…트럼프에 막힌 방위비 협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코로나바이러스 태스크포스 브리핑에 참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11차 한ㆍ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의 4.15 총선 전 타결이 결국 성사되지 못하면서 협정 공백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앞서 미 로이터통신은 11일(현지시간) 두 명의 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측이 총선 전 제시한 전년도 대비 13% 인상 방안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거부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는 또 “13% 인상안은 한국이 제시할 수 있는 최대치”라고도 했다. 10차 SMA 총액이 1조 389억원인 점을 감안할 때 13% 인상은 원화로 1조 1739억원 정도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구체적인 숫자에 대한 확인은 어렵다”면서도 부인하지는 않았다. 최종 10%대 인상안을 제시한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반응인 것이다.

중앙일보

올해 2월 미국 워싱턴 펜타곤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견에서 마크 에스퍼 미 국방장관이 "방위비 증액은 미국의 동맹 전반에 대한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정효식 특파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한국 측이 제시했다는 ‘13% 인상’도 결코 적은 숫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한국 입장에선 오히려 외환위기(IMF) 이후 최대폭 인상안을 제시한 것이다.

최근 인상 폭을 보면 7차(2007년) 6.6%, 8차(2009년) 2.5%, 9차(2014년) 5.8%, 10차(2019년) 8.2% 수준이었다. 과거 2001년 5차 협상 때 25.7% 인상(원화 기준, 총액 4억 7000만 달러)을 한 적은 있지만,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영향으로 인한 환율이 요동친 영향이 컸다고 한다.

이때를 계기로 한·미는 달러가 아닌 원화로 총액 타결을 하는 식으로 바꿨다. 6차 때는 오히려 이라크 파병과 주한미군 감축 계획 등으로 8.9% 감액(총액 6804억원)한 적도 있다. 한 정부 소식통은 “이번 협상에서 한국도 이런 부담을 안고 막판에 움직일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최대한 미국 쪽으로 움직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 10%대 초반 인상은 미국 측의 처음 제안인 약 50억 달러에 크게 미치지 못할 뿐더러, 최근 환율 변동까지 고려하면 전년도 SMA 협상에서 요구해왔던 ‘10억 달러(약 1조 2000억원)’ 선에도 미치지 못한 수준이 된다. 외교가 안팎에서 “협상이 미 대선이 임박한 11월까지 갈 수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중앙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경기도 평택시 주한미군 오산공군기지에서 열린 장병 격려 행사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전 협상에 비춰볼 때 미 정부 고위급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생각하는 마지노선을 다시 전달했을 가능성도 있다. 앞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은 2일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통화한 데 이어 마크 에스퍼 국방부 장관도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6일 전화 통화를 했다.

애초 한·미 간 간극이 워낙 큰 상황에서 “한국이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는 반응도 나온다. 한 외교 소식통은 “협상 초반 미 정부 인사들이 ‘이번 협상은 결코 쉽게 안 끝날 것’이라는 반응이 많았는데, 최근 청와대에서 ‘우리 쪽으로 올 것’ 등의 낙관적인 반응이 나와 다소 의아했다”며 “한국 정부가 선거를 앞두고 상황을 다소 낙관적으로 해석한 것 아닌가 싶다”고 전했다.

지난달 31일 주한미군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을 앞두고 청와대 고위 인사가 언론에 총액 타결 가능성이 높다는 언급을 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중앙일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 [AP=연합뉴스]



한·미 실무진의 협상과는 별개로 한국 국회 일정도 협상 장기화의 변수가 될 예정이다. 국회 비준 동의가 필요한 한국으로서는 협정 타결이 되더라도, 가서명과 정식 서명,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국회 본회의 상정까지 최소 한 달의 기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20대 국회 마지막 임시회가 열릴 수 있는 ‘4말 5초’에 맞춘 ‘3말 4초’ 타결이 베스트라는 말이 나왔다. 한 여권 관계자는 “통상 새로운 국회 원 구성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7~8월로 넘어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한국 협상팀이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개최된 3차 협상에서 ‘10차 SMA 대비 삭감’을 제안했다고 보도했지만, 정부는 이날 이 부분은 부인했다. 로이터는 당시 미국 협상팀이 협상장을 박차고 나간 배경에 한국 측의 감액 요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 당국자는 “관련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한국은 신의성실 원칙에 따라 양측이 '윈·윈'할 수 있는 방안을 일관되게 제시해왔다”고 설명했다. 향후 협상 일정과 관련해 이 당국자는 “한·미 간 커뮤니케이션을 지속하고 있다”면서도 “추가 협상 여부에 대해 현재로써는 확답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