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국회의장과 한국정치

[선택 4·15] 21대 국회의장 '1당' 민주 몫으로…'최다선' 박병석 도전 예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진표 등 '5선' 중진그룹도 후보군

연합뉴스

당선 스티커 붙이는 더불어민주당과 더불어시민당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오른쪽 두번째)가 15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 마련된 당 선거상황실에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종합상황판에 당선 스티커를 붙이고 있다. 왼쪽부터 더불어시민당 이종걸 상임선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 이해찬 대표, 더불어시민당 우희종 공동상임선대위원장. 2020.4.15 yatoya@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4·15 총선에서 생환이 유력한 여야 중진들의 국회 의장단 도전 여부가 주목된다.

입법부 수장으로 국가 의전서열 2위인 국회의장은 관례상 원내 1당이 맡게 돼 있다. 임기는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눠 2년씩 맡는다.

국회의장은 1당이 내부 경선을 통해 후보를 추천하고 본회의에서 무기명 표결을 통해 재적의원 과반의 득표를 얻으면 당선된다. 부의장 2명은 여당 몫 1명, 야당 몫 1명으로 추천을 받아 의장과 마찬가지로 표결을 거쳐 선출된다.

15일 오후 11시 30분 현재 개표 결과 민주당의 1당이 확실시됨에 따라 21대 국회의장 후보는 민주당이 추천할 것으로 보인다.

후보로는 우선 총선 승리 시 당내 '최다선'(6선)이 되는 박병석(대전 서구갑) 의원이 거론된다. 박 의원은 지역구에서 40%가량 개표가 진행된 결과 1위를 달리고 있다.

19대 국회에서 부의장을 지낸 박 의원은 이번 총선 과정에서 국회의장 도전 가능성을 시사한 만큼 출사표를 낼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입지가 탄탄한 박 의원은 당내 중도 온건파 인사로 분류된다.

현재 민주당 최다선으로 당 대표인 이해찬 의원(7선)은 총선에 불출마했고, 정세균 의원(6선)은 20대 국회의장을 지낸 뒤 국무총리직을 맡고 있다.

당내 5선 중진 그룹은 박병석·원혜영·추미애 의원이 있지만, 박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의원들은 이번 총선에 출마하지 않았다. 비례 정당인 더불어시민당으로 잠시 당적을 옮긴 이종걸 의원(5선) 역시 총선에 나오지 않았다.

이와 함께 총선 승리 시 5선이 되는 김진표 의원(경기 수원무)도 국회의장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경제·교육부총리를 지냈고 국무총리 후보로도 거론됐던 김 의원 역시 당내 온건파 인사로 분류된다.

김 의원과 같은 선수인 변재일·조정식·설훈·송영길·안민석 의원 등도 의장직 도전 가능성이 있다.

여당 몫 국회부의장의 경우 의장의 선수에 따라 후보가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6선 의장이 배출되면 5선 그룹에서, 5선 의장이 배출될 경우 4선 그룹에서 부의장직을 맡을 가능성이 있다.

이번 총선 이후 4선이 되는 그룹은 김상희·노웅래·안규백·우상호·우원식·윤호중·이인영·홍영표·정성호 의원 등이다.

민주당의 경우 21대 국회에서 4∼5선 중진 그룹이 탄탄한 만큼 향후 원내대표 경선 구도와 맞물려 국회의장단 경선도 물밑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야당 몫 부의장으로는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에서 총선 승리 시 5선이 되는 조경태·정진석·주호영 의원 등이 물망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yum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