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외환마감]유가하락에도…지수선물 반등+부양책에 상승폭 제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달러 1232.20원…전일比 2.50원 상승

이데일리

22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 국민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증시 현황판을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22일 원·달러 환율은 1232.20원으로 상승 마감했다.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2.50원 상승(원화가치 하락)한 1232.20원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 유가 급락에 따른 위험선호 회피에 전날에 이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뉴욕증시 지수 선물 반등과 코로나19에 대응한 정부의 부양책 발표가 상승폭을 제한했다.

원·달러 환율은 서부텍사스원유(WTI) 6월물이 전장 대비 43% 가량 폭락하는 등 지속되는 원유 시장 불안에 연동해 5.3원 오른 1235.0원에 출발했다.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 7.90원까지 상승폭을 키운 이후 상승폭을 줄여나갔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해외 지수선물이 장중 상승세를 보이고 코스피지수도 올라가면서 시장 분위기가 변화해 환율도 상승폭이 제한됐다”고 말했다. 장마감께 다우존스지수 선물과 S&P500 지수 선물은 전일대비 각 0.98%, 1.01% 상승을 나타냈다. 코스피 역시 전장보다 23.87포인트(1.27%) 내린 1855.51로 출발했지만 16.77포인트(0.89%) 오른 1896.15로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매도세를 이어갔지만 매도 규모는 390억원으로 전날(5296억원)에 비해 대폭 줄었다.

이날 정부가 발표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추가 부양책도 원·달러 환율 상승을 제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제5차 비상경제회의를 통해 3차 추경(추가경정예산) 편성을 공식화하며 85조원 규모의 고용 및 기업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다.

전날 장중 원·달러 환율을 20원 넘게 끌어올렸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관련한 뉴스가 이날도 이어졌지만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의 위중설과 관련해 이날 “우리는 모른다”며 “나는 단지 이것을 말할 수 있다. 그가 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2011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당시에도 환율은 당일에만 급등했다 다음날 곧바로 상승폭을 되돌렸다”며 “당시와 상황은 다소 다를 수 있지만 원·달러 환율은 경제상황과 대외여건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북한 관련 뉴스는 단기적 이슈”라고 말했다. 김정일 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2011년 12월 19일 당시 환율은 1174.80원으로 전일(1158.60원) 대비 15.40원 급등했지만, 다음달인 20일 1162.20원으로 하락했다.

다만 김정은 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를 해소하는 북한측의 확인이 나오기 전까지는 환율의 하단을 지지하는 요인으로는 작용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전 연구원은 “2011년 이후로 북한 관련 뉴스가 환율에 단기적 영향에 그치지만 이번 뉴스는 아직 확실하지 않아 당분간 하방 경직성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현물환 거래량은 서울외국환중개와 한국자금중개 합산 81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장 마감께 재정환율인 원·엔 환율은 100엔당 1145.70원을 기록했다. 달러·위안 환율은 달러당 7.0933위안, 달러·엔 환율은 달러당 107.55엔, 유로·달러 환율은 유로당 1.0862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이데일리

△22일 원·달러 환율 추이. (자료=마켓포인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