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김정은 위원장과 정치 현황

보름 넘게 자취 감춘 김정은…윤상현 “열흘 넘으면 와병설 기정사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北, 전날 이어 김정은 ‘감사’ 서한 보도… 신변과 연관 짓긴 어려워

신변이상설에 휩싸인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보름 넘게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서한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은 “10일 안에 김 위원장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 와병설이 기정사실로 될 것”이라고 27일 말했다.

세계일보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11일 노동당 정치국 회의를 주재하는 장면. 김 위원장은 이후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연합뉴스


윤 위원장은 이날 국회 본관에서 외교통일위 긴급전문가 간담회를 열고 “최근 김 위원장의 동정을 보면 통상적이고 의전적 지시만 있을 뿐, 직접 사인하거나 정책을 결정하는 인사 관련 지시가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위원장은 “최고 존엄의 권력 공백 상태 설이 퍼져나간다면 북한 내부 동요 때문에 김 위원장이 조만간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의도적으로 정상적 업무를 안 한다면 7~10일 사이에 나와서 국제적 이목을 집중시킬 것”이라며 “정상 업무를 못 한다면 ‘코로나19’ 또는 와병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노동신문에도 최룡해, 김여정 등 주요 인사의 동향·활동 내역이 보고되지 않고 있는데 모두 원산에 가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 위원장은 김 위원장의 중태설, 사망설 등 북한 체제를 흔들 수 있는 외신 보도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이렇다 할 대응을 하지 않는 것에 의구심을 품었다. 그는 “과거 파주에서 전단을 살포하면 즉각 대남 비방이 시작되는데 전혀 반응이 없다. 이것은 정말 특이하다”며 “최근 미국에서 금융제재법이 통과했는데 반응이 없는 것도 이상하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윤상현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건강이상설 관련 긴급 전문가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윤 위원장은 북한의 이례적인 ‘침묵’을 비롯해 김 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회의와 15일 태양절 행사 불참, 북한이 평양시를 봉쇄한 것을 ‘특이동향’이라고 분석했다. 윤 위원장은 “중국이 북한에 의료진을 파견했다면 와병설의 근거로 작용하는데 정부는 특이동향이 없다는 반론을 발표했다”며 “와병설은 북한 내부적으로도 증폭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열흘 안으로 동정 보도가 나오지 않으면 와병설은 더 커지고 기정사실로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날 북한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건설에 기여한 일꾼(간부)들과 근로자들에게 ‘감사’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최고지도자의 ‘감사’는 일종의 포상이다. 노동신문은 전날에도 김 위원장이 삼지연시 3단계 건설에 기여한 일꾼들과 근로자들에게 ‘감사’를 보냈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잇따른 ‘서한 행보’가 직접 결재가 필요하지 않거나, 북한 매체의 보도가 나오기 이미 상당 기간 전 절차가 끝났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신변과 연결 짓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의 공개 행보가 없는 한 이런 의혹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정은나리 기자 jenr38@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