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투명성 논란에 휩싸인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서울 마포구 사무실 앞 모습. [이미지출처=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후원금 등 회계 처리 등과 관련된 사안을 향후 외부 회계감사를 통해 밝힐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정의연은 19일 오후 설명자료를 통해 "언론에서 공시 및 회계 관련 부분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고 있다"며 "지난 13일 수요시위에서 밝힌 것처럼 외부회계감사를 받기위한 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니 감사결과를 확인해 달라"고 밝혔다.
우간다에 건립하려던 '김복동센터' 사업이 무산되면서 대지 매입 비용을 1700여만원을 회수하지 못하며 손실을 봤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선 "우간다 정부가 면담 과정에서 '일본'이라는 단어와 '김복동'이라는 이름이 들어간 것을 문제 삼았다"며 "부지 매입비는 약 1200만원이었다"고 해명했다.
건립 지역이 미국 워싱턴으로 변경된 '김복동센터'의 현재 사업 상황에 대해선 "올해 2월 사업 추진을 위해 미국 현지 방문을 추진하려 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부지 물색이 중단됐고 올해 11월 25일로 계획했던 개소식도 무기한 연기됐다"고 설명했다. 정의연에 따르면 현재 김복동센터 건립 목적으로 모인 기부금은 4380여만원에 이른다.
윤미향 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대표가 피해자 해외활동 모금을 개인모금으로 진행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는 "모금한 돈은 관련 사업비로 충당했다"며 "개인 모금 관련 부분은 윤 전 대표 측에서 설명할 예정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의연은 2016년 1월 정의기억재단 출범 때 단체가 아닌 김동희 당시 정대협 사무처장 개인 명의로 모금 계좌를 운영한 사실은 인정했다. 정의연은 "2016년 1월 15일 '김동희(정의기억재단)' 명의의 예금계좌를 개설했고 고유번호증 발급을 위한 절차를 별도로 진행해 같은달 26일 '일본군위안부정의와기억재단설립추진위원회' 명의 계좌를 개설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남산 '기억의 터'에 세워진 조형물 '대지의 눈'에 정대협 활동에 비판적이었던 고(故) 심미자 할머니의 이름이 없는 것으로 드러나 새로운 논란이 됐다. 심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33명은 2004년 '세계평화무궁화회' 명의로 낸 성명에서 정대협을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역사의 무대에 앵벌이로 팔아 배를 불려온 악당"이라고 비판했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