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G7 정상회담

美 `G7+4` 反中연합체 유도 … 靑, 참여 놓고 고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기로에 선 홍콩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까지 초청하겠다고 밝힌 것은 G7 회의를 '중국 성토의 장'으로 만들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0일(현지시간) 케네디우주센터가 있는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6월 예정된 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고 한국 등 4개국을 초청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 직후 앨리사 파라 백악관 전략소통담당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G7에 파이브 아이즈(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등 5개국으로 이뤄진 기밀정보 첩보 동맹)를 비롯한 전통적 동맹국들과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국가들을 초청해 중국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 싶어한다고 설명했다. 세계 15대 경제 대국 중 중국, 브라질, 스페인, 멕시코를 제외한 11개국이 모이자는 것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이 G7을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강행 이후 중국 압박 연합체로 구성하기를 희망해왔다고 전했다. 미국이 중국과 '신(新)냉전'이라 불릴 정도로 강하게 충돌하는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G7으로 구축된 강대국 질서를 해체하고 이를 중국을 견제하고 압박하는 G11으로 재편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기자들에게 "G7이 세계에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적절히 대표하고 있지 않다고 느낀다"고 밝힌 것도 G7 재편을 염두에 둔 발언이라는 것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 초청에 청와대는 반가워하면서도 고민할 부분이 커진 모습이다. 청와대가 환영과 같은 표현을 쓰지 않고 "앞으로 미국 측과 협의해 나갈 부분"이라고 언급한 게 이런 분위기를 대변한다. 공식 초청이 오면 문재인 대통령은 검토 후에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이런 표현을 쓴 것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 구상은 중국을 배제하고 반중(反中) 연대를 강화하려는 흐름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정부 안팎에서는 이번 G7 정상회의에 한국을 포함한 4개국을 초청하려는 것은 단순히 옵서버 자격이 아니라 이들을 포함시켜 코로나19 이후에 새로운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성격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논의에 한국이 포함된다면 G11 국가로서 한국 위상은 크게 올라간다.

하지만 중국이 부담스러워하는 외교활동을 앞장서서 하기에는 부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는 물밑으로 백악관과 긴밀한 협력을 하면서도 대외적으로는 '거리 두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박용범 기자 / 김제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