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G7 정상회담

시진핑 방한이냐, G7 초청이냐···'가을 딜레마' 빠진 한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한국을 초대하고 싶다는 뜻을 밝히면서 정부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지난해부터 공을 들여온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과 G7 정상회의 참가라는 대형 외교 이벤트가 시기적으로 겹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1일 외교가에서는 시 주석의 방한을 경색된 한·중 관계 개선의 계기로 삼으려는 정부가 '연내 방한'을 적극 추진하면서 빠르면 올해 가을쯤 시 주석의 방한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올해 4월 초로 예정됐던 시 주석의 일본 방문 일정도 가을로 연기되면서 비슷한 시기로 조율되지 않겠냐는 것이다.

당초 정부는 시 주석의 방한을 '올해 상반기'로 공식 밝혀왔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으로 일정 조율에 차질을 빚었다. 이와 관련,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 4월 말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시 주석의 상반기 방한 가능성은 낮다"고 밝히면서 '상반기 방한'은 물 건너갔다.

중앙일보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초청한 G7 정상회의도 오는 9월에 열릴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한국, 러시아, 호주, 인도 등 4개국을 오는 9월 이후 G7 정상회의에 초청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G7 정상회의는 당초 6월 말 워싱턴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불참 의사를 밝히면서 개최가 어려워졌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회의를 9월 이후에 열되, 한국 등 4개국을 추가로 참여시키자는 새 제안을 내놓았다. 현재 G7 정상회의 개최 시기는 미국 뉴욕에서 유엔총회가 열리는 9월 15일 전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시 주석의 방한과 G7 회의 참석이라는 초대형 외교 이벤트가 비슷한 시기에 이뤄질 가능성이 생기면서 정부는 반갑지만은 않은 고민에 빠졌다. 서방 최상위 선진국의 '사교 클럽'으로 통하는 G7 회의에 참여한다면 한국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의미가 된다.

하지만 문제는 회의의 성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중(反中) 전선 강화를 위해 파트너를 규합하는 데 G7 정상회의를 활용할 경우 한·중 관계에 불똥이 튈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 올해 G7 회의 의제는 의장국 미국의 관심사인 '중국 대응'이다. 앨리사 파라 백악관 전략소통국장은 "(4개국 초청은) 전통적 동맹국, 코로나19 피해를 입은 나라들과 함께 중국의 미래에 관해 논의하길 원한다"라고 밝혔다.

중앙일보

지난해 8월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두번째)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프랑스, 독일, 캐나다, 영국, 이탈리아, 일본 정상들이 원탁에 앉아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칫 시 주석의 방한이 G7 정상회의 일정 직후 이뤄진다면 한국은 중국을 비판하는 G7 회의에 참석한 뒤 시 주석의 국빈 방문을 환영해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놓이게 된다.

반대로 시 주석의 방한 일정 협의가 급물살을 타 G7 회의 이전으로 잡히더라도 또 다른 고민은 있다. 시 주석의 방한을 사드 배치로 인해 경색된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한 포석으로 삼으려는 정부에겐 G7 회의를 앞두고 중국의 불만 표시에 어떤 입장을 전달해야 할지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중국 외교부는 지난달 29일 진행된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장비 반입에 대해 공개적으로 불쾌감을 드러냈는데 시 주석 방한 때도 관련 의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높다.

제임스 김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두 외교적 큰 행사가 열리는 가을 즈음이 되면 미·중 관계는 지금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11월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 관계에 대한 여러 결정을 내릴 것이고, 중국은 이에 한 걸음도 물러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이어 "그런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취해온 '전략적 모호성'은 외교적으로 극한 대치 상황에 있는 양국을 모두 불쾌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한국 정부가 외교적 난제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다영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