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G7 정상회담

文대통령, G7초청에 화답… 反中 부담에도 ‘失보다 得’ 판단한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미 정상 1일 밤 15분 통화

美-中 전면전 준비하는 상황서도 국제적 위상 강화 효과 크다 본것

‘시진핑 방한’ 고려 땐 여전히 부담

동아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의) 주요 7개국(G7) 체제는 전 세계적 문제에 대응하고 해결책을 찾는 데 한계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세계 최고의 선진국 클럽인 G7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나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에 기꺼이 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국인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G7 회의에 한국 인도 호주 등을 포함시키려는 것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국가를 끌어들이겠다는 복안.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견제 구상에 동참한다는 부담에도 불구하고 문 대통령이 이틀 만에 화답한 것은 득이 실보다 크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세계 질서 재편이 예상되는 만큼 G7 확대정상회의 참여가 가져올 국제적 위상 강화의 효과가 더욱 크다고 봤다는 것이다.

9월 미국에서 열리는 G7 확대정상회의에 문 대통령을 초대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통화에서는 한국 등이 참여하는 새로운 국제 체제를 제안하고 나섰다. G7을 “현재의 국제 정세를 반영하지 못하는 낡은 체제”로 규정한 트럼프 대통령은 11개국 또는 12개국이 참여하는 세 체제에 대한 문 대통령의 의견을 물었다. 문 대통령 역시 “금년도 G7 확대 형태로 대면 확대정상회의가 개최되면 포스트 코로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공감을 표시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적절한 시기에 대면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된다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G7 정상회의 확대 구상과 함께 한국 초청 의사를 밝히자 청와대가 신중한 태도를 보였던 것과 달리 문 대통령이 적극적인 화답에 나선 것은 집권 후반기 국정 목표로 내건 ‘선도국가’ 구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명박 정부 시절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와 핵안보정상회의를 유치하며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끌어올린 것처럼, G7 확대정상회의를 통해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한국의 역할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 청와대 관계자는 “국제적 위상 제고 측면에서 볼 때 참여하는 것이 맞다고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올해 방한을 최근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도 직접 피력한 상황에서 중국과의 관계 악화 가능성은 여전히 부담이다. 이날 정상 통화에서 두 정상은 중국에 대한 직접적인 논의는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정엽 세종연구소 미국연구센터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다루는 국제공조 체제를 강화하겠다는 목적을 밝힌 만큼 한국으로선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여권 관계자는 “코로나 사태 초기 대응 과정에서 한중 정상 간에 어느 정도 신뢰가 형성됐으며 G7 확대정상회의 참여와 한중 관계는 별개라는 ‘투 트랙’ 스탠스로 베이징을 설득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상준 alwaysj@donga.com·이지훈 기자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