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신도시 이모저모

3기 신도시 나비효과?…양주신도시 5천500가구 불어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통 개선 기대에 주택 늘리는 방안 검토

(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3기 신도시 건설을 계기로 수도권의 대중교통이 개선되게 되자 기존 2기 신도시인 양주신도시의 밀도를 높여 가구 수를 5천500가구 늘리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3기 신도시 건설로 기존 1·2기 신도시의 열악한 교통상황이 부각돼 정부가 광역급행철도(GTX) 등 수도권 광역교통망 확충에 나서면서 2기 신도시의 교통 여건도 개선되게 되자 주택을 더 지어보겠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양주신도시 아파트 견본주택을 둘러보는 시민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9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LH는 2기 신도시인 양주신도시(옥정·회천)의 수용 가구를 기존 6만4천872가구에서 7만372가구로 5천500가구(8.4%)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렇게 되면 수용 인구는 16만5천617명에서 17만9천915명으로 1만4천298명이 불어나게 된다.

신도시 건설 계획은 계속 수정되기 마련이고 그 과정에서 수용 가구가 증감할 수 있지만 웬만한 택지지구 주택 공급 규모와 맞먹는 5천500가구나 늘어나는 것은 이례적이다.

신도시 면적(1천117만㎡)은 큰 변화가 없지만 도시 중심부의 밀도가 올라간다.

양주신도시 가구를 늘리려는 것은 3기 신도시 건설을 계기로 수도권 광역교통망이 확충되면서 2기 신도시인 양주신도시 인근 교통망도 대거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옥정지구에서는 중심상업용지와 복합용지의 주거비율을 기존 70% 미만에서 90% 미만으로 올리는 방안이 추진된다.

회천지구에선 회정·덕정역세권의 용적률을 상향하고 덕계역세권에선 복합용지의 주거비율을 높이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이는 GTX-C 건설과 지하철 7호선 연장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는 등 교통여건이 좋아지게 됨에 따라 신도시 역세권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국토부와 LH는 관계 기관 협의 등을 거쳐 양주신도시 개발계획과 실시계획 변경안 등을 마련해 이르면 다음달 관보에 게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정부는 수도권 주택보급 확충을 위해 남양주 왕숙, 인천 계양, 고양 창릉, 부천 대장 등 3기 신도시 건설을 추진해 왔다.

그러자 기존 1·2기 신도시 주민들 사이에서 불만이 터져 나왔다. 가뜩이나 기존 신도시의 교통이 좋지 않은데 3기 신도시까지 만들어서 더 살기 힘들어지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GTX 건설과 전철망 확대 등 수도권 광역교통 개선대책을 내놓고 사업 추진에도 속도를 높였다.

그러다 보니 기존 2기 신도시인 양주신도시 주변 광역교통 여건도 좋아지게 됐고, 도시 규모 확대를 검토하게 되는 상황까지 온 것이다.

국토부는 아직은 '신중모드'를 유지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양주신도시는 GTX-C 라인 건설 등으로 광역교통이 개선돼 LH가 인구 밀도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아직은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야 하기에 신중히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양주신도시 외 다른 2기 신도시에선 인구 밀도를 높이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는 않다"고 덧붙였다.

현재 2기 신도시 중 양주 외에 검단, 평택 고덕, 동탄2 등이 건설 중이다.

banan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