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존 볼턴 회고록 파장

볼턴 “북미 정상회담, 김정은 아닌 정의용이 먼저 제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2018년 6월 11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존 볼턴 전 미국 백악관 국가보좌관이 1차 북미정상회담 제안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니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먼저 했다고 주장했다. 오는 23일(현지시간) 출간되는 볼턴의 회고록 '그 일이 있었던 방: 백악관 회고록'에는 정 실장이 김 위원장의 초청장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전달하던 상황을 담았다.

볼턴 전 보좌관은 "(2018년) 3월 백악관 집무실에서 정 실장이 만남을 요청하는 김 위원장의 초청장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건넸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충동적으로 수용했다"고 썼다. 2018년 6ㆍ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미국 입장에선 치밀한 조율 없이 성사됐다는 의미다. 이어 "역설적으로 정 실장은 나중에 김 위원장에게 (트럼프 대통령과의 만남을) 제안한 것은 자신이었다고 거의 시인했다"고 밝혔다. 정 실장은 특사 자격으로 평양에 다녀온 직후인 2018년 3월 8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한 후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을 가능한 조기에 만나고 싶다는 뜻을 표명했다"고 발표했다.

이 책에서 북미정상회담 전반이 결국 한국의 아이디어라는 점을 볼턴은 강조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이 모든 외교적 판당고(스페인 춤)는 한국의 창조물이었다"며 "김정은이나 우리(미국)의 진지한 전략보다는 한국의 '통일' 어젠다와 보다 관련이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종전선언 화두와 관련해서도 "처음에는 북한의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는데 이후에 이것이 자신의 통일 의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문재인 대통령의 아이디어라고 의심하기 시작했다"고 썼다. 앞서 미 언론들은 '한국의 창조물'이란 문장을 발췌, 보도하면서 볼턴 전 보좌관이 트럼프의 대북 정책이 미국의 이익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으로 분석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또 "나는 정 실장에게 다가오는 4ㆍ27 남북 정상회담 때 비핵화 논의를 피할 것을 촉구했다"면서 "북한이 가장 좋아하는 외교 전술대로 한국과 일본, 미국 사이에서 이간질 하는 걸 방지 하기 위해서였다"고 밝혔다. 이어 자신의 이런 한미일 간 긴밀한 조율에 대한 의견과 달리 "트럼프는 개의치 않는 듯 보였다"고 트럼프의 외교 방식을 비난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