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11 (토)

이슈 5세대 이동통신

"5G 오픈랜 기술 선점"···민·관 드림팀 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자료 : 게티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자신문

5G 프론트홀 개념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차세대 개방형 접속망인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오픈랜'을 선점하기 위한 민·관 연합체가 닻을 올렸다. 특정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종속성 탈피를 목표로 5G 기지국 연동을 위한 개방형 표준 개발이 핵심 목표다. 소프트웨어(SW) 중심 5G 기지국 기술 진화를 주도하고 중소기업의 글로벌 5G 시장 진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5G포럼은 23일 '개방형 5G 프런트홀 워킹그룹(WG) 출범식'을 열고 오픈랜 기술 개발과 생태계 활성화를 선언했다. 우리나라에서 오픈랜 민·관 연합체(얼라이언스) 출범은 처음이다. 워킹그룹에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삼성전자, 에릭슨LG, 노키아, 다산네트웍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정보화진흥원(NIA), 한국네트워크산업협회(KANI) 등 총 23개 기업·기관이 참여했다.

워킹그룹은 글로벌 오픈랜 표준화기구(오픈랜 얼라이언스)가 개발하고 있는 '개방형 프런트홀 인터페이스'를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상용화하고, 생태계 조성을 가속화한다는 목표다. 프런트홀은 안테나를 이용해 이용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원격 기지국장치(RU)와 중앙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분산장치(DU) 구간 연결에 필요한 제반 기술 및 규격을 의미한다.

5G 프런트홀을 개방형 표준으로 구축하면 이통사는 다양한 제조사 DU와 RU를 수요에 맞게 선택, 활용 가능해 5G 인프라 구축비를 줄일 수 있다. 기지국 중계기 역할과 유사한 RU 분야에서 중소기업의 시장 진입이 가능해진다. 4G 롱텀에벌루션(LTE)까지는 주요 제조사가 독자 인터페이스를 활용, 이통사 투자비 부담과 망 비효율이 증가한다는 논란이 지속됐다.

개방형 5G 프런트홀 워킹그룹은 장기적 오픈랜 기술 진화에도 대응한다는 목표다. 글로벌기업 간에는 5G 프런트홀 구간 개방과 표준화까지는 상당한 합의와 기술 표준화가 이뤄졌다. 그러나 오픈 랜은 프런트홀 기술 개방을 비롯해 장기적으로 기지국 SW와 하드웨어(HW)를 분리, 완전한 개방형 기지국 아키텍처 구현을 추진한다. 5G 프런트홀 워킹그룹은 당면한 프런트홀 기술 개발과 동시에 기술 진화 논의에도 지속 참여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글로벌 시장에는 오픈랜 얼라이언스를 비롯해 텔레콤 인프라 프로젝트, 오픈랜 폴리시 콜리션 등 다양한 오픈랜 협의체가 출범했다. 전통적 네트워크 기업을 비롯해 구글, 페이스북, 인텔 등도 이 같은 협의체에 참여하며 오픈랜에 관심을 내보이고 있다. 개방형 5G 프런트홀 워킹그룹 출범으로 우리나라 통신 생태계가 보유한 기술력을 차세대 핵심 기술로 떠올린 오픈랜 시장에 투입하도록 지원할 협력 체계와 소통 창구가 확보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동구 5G포럼 집행위원장은 “5G 프런트홀은 5G와 다른 산업 간 융합 서비스 보급〃확산을 위한 핵심 요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