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레버리지 완화'에도 신중한 카드사…"코로나 여파로 대출 확대 어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도 6배→8배로 확대

대출 확대 등 가능하지만

코로나 여파로 연체율 우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숙원사업이었던 레버리지 한도 완화에도 불구 카드사들이 신사업 추진 및 대출 확대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민간소비가 회복되지 않은데다 하반기부터 연체율 급등 등 건전성에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1일 금융당국 및 카드업계에 따르면 오는 8~9월 카드사의 레버리지 한도를 6배에서 8배로 완화하기 위한 여신전문금융업 감독규정이 개정된다. 개정에 따른 시행은 10월부터다. 지난 4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금융규제 유연화방안'의 후속 조치다.


레버리지 배율은 자기자본 대비 총자산의 배율을 의미한다. 현행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카드사는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공급액 등 전체 자산이 자본의 6배를 넘지 못하도록 하는 레버리지 배율 규제를 받고 있다. 레버리지 배율규제는 부채를 이용한 자산 확대를 제한하는 금융규제다. 즉 카드사들이 과도한 경쟁을 통해 자기자본 대비 대출이나 할부영업 등을 늘리지 못하도록 제한을 둔 것이다.


다만 카드사들은 레버리지 규제가 완화되도 당장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대출을 확대하거나 신사업을 추진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여파로 민간소비가 이전수준으로 회복되지 않은 데다 건전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레버리지 한도가 확대되면 신규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여유가 생기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가계대출 가중치가 115%로 높아 대출 확대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9월부터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 등을 위해 시행한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상환 유예가 돌아오기 때문에 연체율 상승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전체카드(신용·체크·선불카드) 승인금액은 78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6.8% 증가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지난 3월과 4월 각각 -4.3%, -5.6%에서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를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인한 반짝 효과로 보고 있다.


그동안 카드업계는 지속적으로 레버리지 한도 확대를 금융당국에 요청해왔다. 레버리지 배율 한도가 낮을수록 사업운영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같은 여전법의 규제를 받는 캐피탈사를 포함해 대부분의 금융사들의 레버리지 배율 한도는 10배다. 실제 몇몇 카드사들은 레버리지 한도에 임박한 상황이다. 올 1분기 기준으로 우리카드 5.7배와 KB국민카드 5.5배, 롯데카드 5.5배 등 레버리지 배율 한도에 임박했다. 신한카드와 현대카드도 각각 5.2배, 5.3배로 5배를 넘겼다.



기하영 기자 hyki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