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타항공은 M&A 진행으로 인해 정부로부터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한 채 완전자본잠식에 빠진 상태다. 최악의 경우 M&A가 노딜로 끝나면 정부 지원 없이 살아남기 힘들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국토부는 M&A를 성사시키는 게 최우선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하지만 국토부가 과거 항공산업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온 점을 감안하면 국내 3위 항공사인 제주항공이 딜을 깨기는 쉽지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온다.
◆ 김현미 "M&A 불발시 제주항공에 지원 불가"…양측 대화는 거의 중단
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M&A가 종결되지 않으면 정책금융을 지원할 일이 없다"고 밝혔다.
|
하지만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은 M&A를 위한 대화를 거의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지난달 29일 성명서에서 "이스타항공이 최악의 상황을 맞을 경우 제주항공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며 "금명 간 인수에 대해 확실히 의사표명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제주항공은 같은 날 이스타항공 창업자인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이 주식 포기를 선언한 데 대해 "상황을 파악 중"이라며 당황스럽다는 반응 외에 언급을 피하고 있다.
만약 M&A가 노딜로 끝난다면 이스타항공이 자력으로 회복하기는 거의 불가능할 전망이다. 1분기 말 기준 이스타항공은 2200억원 가량의 부채가 쌓여 있고, 운영 중단으로 매달 250억원의 빚이 새로 쌓이고 있다. M&A가 장기화할수록 재무상태가 악화하는 상황에서 불발로 끝날 경우 피해가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이스타항공 측이 제주항공에 신속하게 의사표명을 해달라고 요구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가 끝내 무산될 경우 이스타항공이 살아날 방법은 정부 지원을 받아 운영을 재개하는 것뿐이다. 하지만 정유사나 셔틀버스 업체, 유니폼 업체 등 협력업체에 각종 빚이 쌓여 있는 상황에서 최소 300억원이 있어야 항공이 재운영이 가능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항공업황 악화도 문제다. 비행기를 다시 띄워도 현재는 국내선만 운영이 가능해 적자폭을 일부 줄이는 수준에서 개선이 가능할 전망이어서 문제 해결은 요원하다.
|
일각에서는 노딜이 현실화할 경우 제주항공도 무사하지 못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항공산업 허가권을 쥔 국토부가 운수권 배분 등의 각종 허가에서 제주항공에 불이익을 줄 가능성 등도 거론된다. M&A 무산시 지원이 어렵다는 김현미 장관의 발언 역시 제주항공 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진에어 부사장이었던 조현민 한진칼 전무가 광고회사 직원에 물을 뿌린 갑질 사건 이후 국토부가 진에어에 노선 배분을 안했던 점을 등을 고려하면 국토부로부터 무언의 압박이 가볍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제주항공 역시 경영이 녹록지 않아 빚더미에 앉은 이스타항공을 선뜻 인수할 수도 없는 만큼 진퇴양난인 셈이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항공산업 특성상 항공사들은 국토부와 관계가 중요한데 지금 노딜이 되면 제주항공은 업계에서 비판을 면치 못할 것"이라며 "국토부와 제주항공이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럼에도 제주항공이 강경하게 대응하면 인수하지 않을 수도 있어 예측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항공업계 조종사들 역시 국토부도 이번 갈등에 책임이 있는 만큼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국민간항공조종사협회와 대한민국조종사노동조합연맹은 이날 성명서에서 "국토부는 항공사의 면허 인가부터 항공기 도입, 노선권, 각종 규정 인가, 심지어 면허 취소 권한도 있는 항공사의 최고 권력기관임에도 유독 이스타항공 문제에는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며 "과거 타 항공사의 경영문제에 국토부가 적극 개입한 사례와 비교해도 도저히 이해가 안된다"고 지적했다.
unsaid@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