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0 (월)

[정유신의 China Story]홍콩보안법, 국제금융허브 홍콩 뒤흔들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정유신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중국자본시장연구회 회장]
머니투데이

중국 전인대(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회가 홍콩보안법을 만장일치(162명)로 가결하자마자 미국도 보복조치를 잇달아 터뜨렸다. 홍콩에 대해 미국 군사장비와 안보 관련 기술수출을 금지하는 등 '홍콩 특별대우'(1992년 홍콩정책법)를 박탈하기 시작한 데다 지난달 30일엔 공화당과 민주당 의원들이 홍콩 주민에게 난민지위를 주는 '홍콩 피란처 법안'(Hong Kong Safe Harbor Act)까지 제출했다. 글로벌 시장에선 가뜩이나 코로나19 때문에 경제가 엉망인데 국제 금융시장 센터인 홍콩이 타격을 입을 경우 금융시장 교란과 위험도 커져 자칫 '실물과 금융이 악순환 고리에 빠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눈치다.

그러면 홍콩이 어떤 타격을 받을 때 글로벌 금융시장의 위험도 커지게 될까. 한마디로 경쟁력의 3요소, 즉 기업·인력·자금이 홍콩에서 급격히 빠져나갈 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그런 위험이 얼마나 현실화될 수 있는가'다. 우선 '홍콩의 공동화'가 진행될 우려가 꽤 크다는 의견이 있다. 이들은 홍콩의 맞수, 싱가포르로 대대적인 이동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징후도 감지됐다. 싱가포르 금융통화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싱가포르의 비거주자 은행예금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44%나 증가한 620억 싱가포르달러(약 5조 3600억원)였다고 한다. 이는 증가액 기준 1991년 이후 29년 만의 최대규모다. 금융권에선 대부분 홍콩자금일 것이라는 게 대다수 의견이다. 헤지펀드, 사모펀드들이 자산을 싱가포르로 옮기고 UBS, 크레디트스위스 등 글로벌 뱅크들은 중국 본토와 홍콩 고객을 대상으로 역외자산운용 마케팅을 강화하는 등 발빠른 움직임을 보인다. 미국 상공회의소가 지난 6월3일 발표한 조사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고 얘기한다. 이에 따르면 홍콩 소재 미국 기업 중 홍콩보호법을 '어느 정도 우려한다'는 대답이 30%, '대단히 우려한다'는 대답이 53.3%였다. '홍콩에서 자본이나 자산, 사업을 옮길 것을 검토 중'이란 대답도 30%였다.

하지만 홍콩이 일시 흔들릴 순 있지만 홍콩의 국제 금융허브 역할이 그렇게 쉽게 약화하진 않을 것이란 의견도 적지 않다. 첫째, 낮은 세율의 강점을 지녔기 때문이다. 홍콩의 개인소득세와 법인세 최고세율은 15%와 16.5%로 같은 저세율국가인 싱가포르의 22%와 17%보다 훨씬 유리하다.

둘째, 홍콩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는 보다 강력한 이유는 홍콩의 '중국 본토와의 강력한 연결성' 때문이다. 저세율이라 해도 홍콩보안법에 대한 두려움으로 일부 개인부유층은 싱가포르 등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이나 본토 주식·채권시장과 관련해서 영업하려는 금융기관, 투자자들도 홍콩을 쉽게 떠날 수 있을까?

그렇지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홍콩은 외환 거래규모로도 세계 3위지만, 특히 위안화에 관한 한 시장점유율이 30%로 부동의 1위다. 주식·채권거래에서도 중국 본토와 연결(후강퉁, 선강퉁, 채권퉁)돼 있어서 중국 금융시장의 개방이 가속화할 경우 홍콩의 존재감이 더욱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회계법인 어니스트영에 따르면 지난해 홍콩 주식시장을 통한 IPO(기업공개)는 건수 154건, 자금조달액 379억달러로 세계 최대였고 2010~2018년 중국 기업들이 해외에서 조달한 자금 중 홍콩 비중도 주식 75%, 채권 60%로 압도적이다. 그만큼 중국 및 아시아 시장과 관련된 기업이 늘었단 얘기다.

셋째, 5월20일 미국 상원을 통과한 '외국기업설명책임법'도 홍콩 시장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는 평가다. '외국기업설명책임법'은 해외 기업이 미 당국의 검사를 거부하면 상장을 폐지할 수 있어 특히 중국 기업들의 '맨해튼 탈출, 홍콩 진입 러시'가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이다. 앞으로의 관전포인트다.

정유신 서강대학교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중국자본시장연구회 회장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