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한국 AI정책, 연구·인재육성·산업정책 분야 만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캐나다고등연구원 보고서…주요국 중 EU 다음 최다 만점

연합뉴스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정책이 세계 주요국과 비교할 때 연구와 인재육성, 산업정책 면에서 가장 잘 준비돼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2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고등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포함해 세계 주요 국가의 AI 전략을 비교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1982년 설립된 캐나다고등연구원(CIFAR. Can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은 AI 강국인 캐나다의 주축 연구기관으로, 세계 각국의 AI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보고서는 각국의 AI 전략을 8대 정책 분야에 걸쳐 평가했다. 평가는 분야별 5점 만점으로, 세부적 조치와 예산까지 포함한 정책에 4~5점, 포괄적 정책 목표가 있으나 특정 조치가 없거나 계획만 있을 경우 2~3점, 중요성은 인지하지만, 구체적 목표나 대책을 명시하지 않은 경우 1점, 해당 사항이 없으면 0점을 주는 식으로 이뤄졌다.

그 결과 한국은 연구와 인재육성, 산업정책까지 3개 분야에서 5점 만점에 5점을 받았다.

연구 분야는 AI 연구센터나 허브, 프로그램 신설 여부를 주로 평가하고, 인재육성은 국내외 AI 인재의 유치와 양성, 석·박사 프로그램 설립 등에 중점을 둔 항목이다. 산업정책은 AI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 AI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한 AI 기술의 민간 도입 활성화 등이 핵심이다.

주요 8개국 중 3개 이상 분야에서 5점을 받은 나라는 4개(산업정책·윤리·데이터·정부AI) 분야에서 5점을 받은 유럽연합에 이어, 나란히 3개 분야에서 5점을 받은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연구·인재육성·산업정책)뿐이었다.

미국은 연구와 데이터 등 2개 분야에서 5점을 받았고, 중국과 일본은 5점을 받은 분야가 하나도 없었다.

KISDI는 "대부분 국가가 데이터와 디지털 인프라, 인재육성, 산업정책 등에서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했지만, 정부 AI와 포용 분야에서 구체성이 가장 낮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보고서가 우리나라의 AI 전략에 대해 2018년 발표 내용을 기준으로 하는 등 국가별 최신 정책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5점을 받은 3개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5개 분야에서 0점을 받아 평가할 사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ISDI는 "세계 각국이 앞으로 AI가 국가 경쟁력을 견인할 파급력이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며 "초기부터 AI 전략을 세운 국가는 성과가 나타날 수 있는 시점인 만큼 해외 주요국의 AI 전략 동향을 더욱 면밀히 주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josh@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