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6 (일)

'감염경로 불명' 두자릿수…방역망 벗어난 코로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2주간 '깜깜이 환자' 10명 중 1명

지난달 중순부터 10%대…역학조사 난항

아시아경제

다단계 노인 건강용품 판매업체인 리치웨이 관련 n차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8일 서울 관악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조현의 기자]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수도권과 대전을 넘어 전국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깜깜이 환자' 비중이 두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감염 경로 불명 사례 비율 5% 미만'을 국내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보고 있지만 깨진 지 이미 오래다.


2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2주간 확진자 652명 중 최초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환자는 68명으로 10.4%에 달한다. 기존 생활 속 거리두기 방역체계의 기준선 중 하나인 '감염 경로 불명 비율 5% 미만'의 2배 수준이다.


감염 경로 불명 사례는 지난달 15일 처음으로 10%대를 넘은 후 같은 달 29일 통계 집계 이래 최고치인 11.8%까지 올라섰다가 전날 다시 10%대로 내려갔다. 수도권 지역에서 물류센터와 종교모임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증가했던 지난달 초 한 자릿수(7.5%)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한 달 새 깜깜이 환자가 급증했다는 것이다.


이는 지역사회 내 '조용한 전파' 등을 통한 감염이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됐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방역당국은 신규환자 10명 중 1명은 감염 경로를 파악할 수 없어 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거나 감염 경로를 예측하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 신천지, 이태원 클럽 등 특정 집단에서 일어난 대규모 집단감염은 환자 수가 많았던 반면 확진자와 접촉자를 관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소규모 집단감염은 유증상자를 가려내기 힘들어 대응이 더 까다롭다. 최근 역학조사 속도가 환자 발생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수도권과 대전에 이어 대전, 충북, 광주 등에서 크고 작은 감염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로 최초 감염 경로를 밝혀내지 못한 사례가 잇따라 확인되고 있다. 지금까지 19명이 확진된 광주 광륵사 사례도 최초 감염 경로를 밝혀내지 못했다.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교내 감염으로 추정되는 확진자가 발생했지만 아직 감염 경로가 파악되지 않았다.


현재 방역당국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1단계로 유지하고 있다. 감염 경로 불분명 비율은 거리두기 1단계에서는 5% 미만, 3단계에서는 급격한 증가가 확인돼야 한다. 여름 휴가철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전국적 확산 위험도 커지면서 거리두기 단계를 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방역당국은 현행 1단계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본 전략기획반장은 "아직 환자 치료가 가능한 수준이라 사회 전체적으로 희생을 치를 필요는 없다"고 했다. 다만 필요 시 상향 가능성도 있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확진자 추세가 계속 증가한다면 그때 가서 2단계를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현의 기자 hone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