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속수무책' 바이오 재난에 연구 효율 높여 대응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9차 비상경제 중대본회의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 확정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 내년부터 가동…'소재자원은행' 슬림화

뉴스1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갈무리) 2020.07.02/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정부가 내년부터 가동하는 '국가 바이오 연구 데이터 스테이션'의 목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바이오 재난에 연구 효율을 극대화해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코로나19 사태로 보건 분야는 물론 경제까지 속수무책으로 타격을 입는 상황을 최대한 방지해보겠다는 취지인 셈이다.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9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생명연구자원 빅데이터 구축 전략'이 확정된 데에 "앞으로 바이오 경제 핵심 자원인 데이터와 소재 인프라를 본격 육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까지 조성될 데이터 스테이션에는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를 포함한 관계부처, 연구자별 바이오 관련 연구 데이터가 한데 모일 예정이다. 신약, 의료기기 등 15대 바이오 연구활동에서 필요로 하는 유전체, 생화학분석, 임상 데이터 등이 주요 수집 대상이다.

정연웅 과기정통부 바이오기반팀 팀장은 "데이터 스테이션이 잘 활용된다면 연구자 간 동일한 실험이 반복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연구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속히 찾아 활용할 수 있어 좀 더 효과적인 연구 실적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국가생명연구자원 수집·관리 표준지침'을 빠르게 제정하고 데이터 등록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스테이션이 조기 정착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데이터 등록에 따른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축적된 마일리지 등급에 따라 연구개발(R&D) 선정평가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이 활용될 예정이다.

또 '바이오 연구 데이터 표준화 위원회'를 구성해 데이터 등록 양식을 표준화하는 동시에 데이터 분석 툴을 개발하고 연구자들 간 온라인 협업을 할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는 특히 바이오 재난 발생시 진단기기와 치료제, 백신 등을 속히 개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필요한 바이러스, 검체 등을 빠르게 확보·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표준화된 동물실험 플랫폼을 사전에 구축해 지원하고 국내외 감염병 연구결과와 질병관리본부 방역 과정에서 확보한 데이터베이스(DB)를 연계할 방침이다.

기존에 부처별로 운영됐던 소재자원은행 274개도 구조조정에 들어간다. 정부는 이를 인체유래물, 병원체, 모델동물, 천연물 등 14개 분야 소재 클러스터로 슬림화하고 클러스터별 맞춤형 육성 전략을 수립해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생명연구에 대한 인력 양성을 위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온·오프라인 교육과정, 관련 아이디어 공모전 등을 개최하고 소재 자원 활용을 위한 온라인 교육 등도 실시할 예정이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새로운 혁신성장 동력은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인프라에서 시작된다"며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인공지능(AI) 기반의 바이오 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범부처와 협력해 이번 전략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뉴스1

14개 분야 소재 클러스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자료 갈무리) 2020.07.02/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cho11757@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